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고는 18세기 후반 광통교에서 다채롭게 펼쳐진 각종의 문화예술 전반을 고찰함으로써 광통교가 한양의 ‘핫 플레이스’로 재부상했음을 주장하였다. 광통교는 선행 연구에서 조선 후기의 도시 발달과 관련하여 많이 다루어졌음에도 그 비중은 늘 부수적이고 파편적이었다. 본고는 강이천의 「한경사」를 주 자료로 삼되 세시기나 문집, 역사서 등을 보조 자료 활용하여 ‘핫 플레이스로서의 광통교’를 집중 부각시켰는데, 이렇게 해야만 18세 이후 한양의 문화 중심지 역할을 하던 광통교의 위상에 걸맞기 때문이다. 광통교가 ‘핫 플레이스’로 재부상하게 된 요인 중 하나는 청계천 준설이다. 영조가 준천사(濬川司)를 설치하여 청계천을 체계적으로 준설하고 2, 3년에 한 번씩 정기적으로 청계천을 유지·보수함으로써 청계천은 본연의 모습을 되찾게 되었고, 이의 영향으로 광통교 일대도 다시 활기를 띠기 시작했다. 광통교는 청계천이 준설되어 하천으로서의 제 모습을 찾은 데다 도시상공업의 발달로 인해 종루(鍾樓) 상권이 확대되는 상황과 맞물려 18세기 후반 문화 공간으로 자리 매김하기 시작한다. 특히 입지 조건을 최대로 활용하여 다리밟기와 연날리기와 같은 세시풍속이 행해지고, 속화(俗畫)가 전시되고 판매될 정도로 서화의 유통 공간으로 자리 잡고, 투계(鬪鷄)와 타구(打毬) 시합과 같이 전문화된 스포츠가 개최되기도 하는 등 복합 문화 공간의 중심지가 되었다. 아울러 한양 및 주요 도시에서 문화의 중심지 역할을 하던 특정 장소 역시 본고에서 광통교를 부각시켜 서술한 것처럼 변두리가 아니라 중심지로서 조명할 필요가 있으며, 본고에서 행한 작업은 이 점에서 유미할 것으로 판단된다.


This paper examines the wide range of culture and arts in the late 18th century Kwangtong bridge(廣通橋), and argues for the re-emergence of Kwangtong bridge as a hot place of Hanyang(漢陽). The previous studies about Kwangtong bridge has been dealt with much in relation to urban development in the late Chosun Dynasty, but its proportion has always been collateral and fragmentary. This paper analyzes Kang, I-Chun(姜彛天)’s Hangyungsa(漢京詞) as the main text, and utilizes the almanac(歲時記), the collection of the works, and the history books as the supplementary ones. In doing so, this paper highlights Kwangtong bridge as a hot place, which has been the cultural center of Hanyang since the 18th century. One of the reasons why Kwangtong bridge is re-emerging as a hot place is the dredging of Cheonggyecheon(淸溪川). Since it was systematically dredged by Yeongjo(英祖), Cheonggyecheon was maintained and repaired periodically every two or three years. Accordingly, Cheonggyecheon regained its original shape and also the area around the Kwangtong bridge could be revitalized. Also, Kwangtong bridge was able to hold the prominent position as a cultural space in the late 18th century, due to the fact that the Cheonggyecheon is dredged to find its original shape as a river, and the development of urban commerce and industry through the Jonglu(鍾樓) commerce's exten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