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한 위치에서 반복 점멸하는 자극이 정지된 큰 물체에 인접하여 제시될 때, 운동 중첩을 매개로 가현운동이 지각될 수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실험 1에서는 운동 중첩의 지각 가능성을 조작하기 위해, 양안부등 단서를 변화시켜 점멸자극을 삼차원 깊이상에서 가림막 뒤(운동 중첩 가능 조건), 혹은 앞(운동 중첩 불가능 조건)에 제시하였다. 실험 1 결과, 점멸 자극이 가림막 앞에 제시될 때보다 뒤에 제시될 때 가현운동 지각 비율이 높았다. 실험 1에서 관찰한 가현운동 지각 경향성이 실제로 운동 중첩을 매개로 하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실험 2에서는 가현운동과 관련된 간접적 지표를 측정하였다. 점진적 크기 변화 자극과 불연속 점멸 자극을 제시하고, 참가자들에게 자극의 크기 변화가 “점진적”, 혹은 “불연속적”으로 지각되었는지 판단하도록 하였다. 실험 2 결과 자극이 가림막 뒤에 제시되는 운동 중첩 가능 조건에서 가림막 앞에 제시되는 조건보다 “점진적”이라고 응답한 비율이 높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가림막 뒤에서 지각된 물체의 무형 표상이 가현운동의 대응 문제 해결에 이용되면, 한 물체의 제자리 점멸 시퀀스가 가현운동으로 지각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e current study examined whether a single object repeatedly flashing on and off in place can give rise to a percept of apparent motion when it is presented adjacent to a large occluder behind which an amodal representation can be formed. In Experiment 1, we manipulated the possibility of kinetic occlusion by placing a blinking object behind or in front of a large occluder in a stereoscopic 3D display. The results of Experiment 1 revealed that apparent motion rating was higher when a blinking object was presented behind the occluder than when it was in front. In order to figure out whether apparent motion found in Experiment 1 was actually mediated by kinetic occlusion, an indirect index potentially related to apparent motion was measured using a new experimental task: Participants observed a display involving either a gradual or sudden change of an object in size and reported whether this change appeared gradual or sudden. The results of Experiment 2 revealed that the proportion of the gradual change response was higher when a blinking object was presented behind the occluder than when it was in front. This study suggests that even a single object flashing on and off in place can generate apparent motion when its coming into and going out of existence is perceived to come into and go out of sight while continuing to exist behind an occlud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