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최근 기업은 전보다 높은 수준의 윤리적 리더십을 통해 기업평판 및 브랜드 이미지를 제고하고 구성원들의 성취감 감소, 정서적 고갈 등 직무소진의 현상들을 타개하기 위해서 조직시민행동과 같은 직무 외적인 역할을 증대하려는 등 HRM 접근을 통해 기업의 경쟁력을 강화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비즈니스 환경에서 경영관리 차원의 우선순위 및 조직의 성과관리의 중요성을 고려하여 윤리적 리더십의 역할을 통한 구성원들의 직무소진 및 조직시민행동의 관계성을 심층적이고 다각적인 관점에서 연구하는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개인수준에서 상사의 윤리적 리더십이 구성원들의 조직시민행동을 고취시킨다는 가정 하에 부정적인 심리요인으로 대변되는 직무소진의 매개역할을 규명하는데 있다. 실증분석 결과 본 연구에서 제시한 4가지 가설이 전부 채택되었으며 상사의 윤리적 리더십이 직무소진을 매개로 하여 조직시민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결론을 도출한 최초의 논문이다. 또한 상사의 윤리적 리더십의 발휘가 절대적으로 중요하며 그러한 리더십은 구성원들의 직무소진을 감소시키고 조직시민행동을 증대시키는 긍정적인 직무환경을 조성한다는 시사점을 제공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mediating role of job burnout, which is expressed as a negative psychological factor, on the assumption that supervisors' ethical leadership promotes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t the individual level. In other words, under the theoretical review, we set up three relationships between supervisors' ethical leadership, job burnout,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First, supervisors' ethical leadership will have a positive effect 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Second, supervisors' ethical leadership will have a negative effect on job burnout. Third, job burnout will have a negative impact 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Fourth, job burnout will mediate relationship between supervisors' ethical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ll four hypotheses were adopted. This study is the first to draw the conclusion that supervisors' ethical leadership has a positive effect 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through the mediating role of job burnout. Also, supervisors' ethical leadership provides an opportunity to create a positive work environment that reduces members' job burnout and increases the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