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조선중기 성리학에 기반한 예학(禮學)은 사회 구성원들의 지지를 얻어가고 있는과정 중에 있었다. 김장생(金長生), 정구(鄭述) 등 많은 성리학자들이 17세기에 이르러서야 조선의 현실에 맞는 예론서(禮論書)들을 저술하는 것은 당시의 현실적 필요에 의한 것이었고, 이는 조선중기 예학의 시대적 상황을 말해주는 것이었다. 이처럼조선중기 사회에 아직은 정착하고 뿌리내리지 못한 예학을 누구보다 잘 이해하고있던 인물 중 한 명이 바로 천민 출신의 촌은 유회경이었다. 유회경은 당시 사대부들조차 이해하지 못하고 있던 예학에 대한 해박한 지식을 통해 사대부 사회에 진입할 수 있었다. 그리고 예학은 물론 뛰어난 시재(詩才)를 통해 당대 일급 지식인들과신분을 초월한 교유를 지속했다. 유희경의 이러한 예학의 지식과 탁월한 문장력은성리학이 더욱 정착하게 된 조선후기에 사대부들로부터 높은 평가를 받게 하는 요인이 되었다.


Neo-Confucianism based Ye Hak(禮學) had been having the support of the peoplein the Middle period of Joseon dynasty. Many Confucian scholar, like Kim JangSaeng(金長生),Jung Gu(鄭逑),wrote Ye Ron(禮論) books in the seventeenth centuryand it means the realistic need of those days and the situation of the times. ChonEun(村隱) Yu Hee Gyung(劉希慶)was the one who had trend down theNeo-Confucianism based Ye Hak in the Middle period of Joseon dynasty. Yu HeeGyung could enter the gentry society through the wide knowledge about the YeHak and then many Confucian scholar couldn’t understand the meaning of the YeHak. Although transcend social position he could go through association with firstlevel intellectual by the poetic genius. His knowledge about the Ye Hak and thepower of sentence make him full of praise by the first level intellectual in theLate period of Joseon dynas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