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에서는 2008년 4월 중순부터 도입된 오피넷 서비스 개시 전후의 국제 원유가격과 국내 석유제품가격 간의 관계를 웨이블릿 분석기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전체 분석기간은 1998년 5월 1일부터 2017년 12월 31일까지로 오피넷 서비스 개시를 기준으로 이전과 이후 기간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를 보면, 오피넷 서비스 도입 이전에 비해 도입 이후 국제 유가와 국내 석유제품가격 변화 간의 상관관계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단기에서도 두 변수들 간의 상관관계가 증가하였다는 것은 유가정보 공개서비스가 도입된 이후 국내 석유제품 소매시장이 국제 유가 변화에 보다 신속히 반응하여 가격을 조정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오피넷 서비스 개시 이전에도 단기에서 장기로 갈수록 국제 유가와 국내 석유제품 간의 상관관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오피넷 서비스 도입 여부와 관계없이 단기에 비해 장기일수록 국내 석유제품가격이 국제 원유가격 변화에 대응하여 높은 상관관계를 가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하지만 장기에서의 상관관계의 강도는 오피넷 서비스 개시 이전에 비해 개시 이후에 더 강하게 나타났다.


This study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crude oil prices and retail petroleum product prices before and after the price disclosure system introduced on April 15, 2008 in Korea.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coherence between crude oil price and retail petroleum product price has increased after the introduction of the price disclosure system in the high-frequency scale. It means that, due to the power of information cascade in the price disclosure system, the retail petroleum product prices have been quickly adjusted among competitive retail gas stations in response to changes in international oil prices. In the low-frequency scale, however, the coherence between the prices was high both before and after the introduction of the system. This means that the information has been sufficiently spread in the long-term and the competitive market equilibrium has been established among retail gas stations regardless of whether or not the information disclosure system is introduc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