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대학생이 인식하는 가족 다양성 수용도를 파악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적 요인과 가족적 요인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J도에 소재하는 4년제 대학교 재학생 280명을 대상으로 질문지법을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가족 다양성 수용도, 전통적 가족주의 가치관, 조망수용능력, 부모-자녀 개방형 의사소통, 부모의 양성평등의식을 척도로 사용하였으며 그 중 가족 다양성 수용도 척도는 20가지의 가족형태 중에서 가족이라고 생각하는 것을 모두 선택하게 한 후 그 수를 합산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4.0으로 분석하였으며 빈도분석과 기술통계, t 검증과 One-Way ANOVA, 그리고 Pearson의 상관관계 분석과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대학생의 가족 다양성 수용도는 보통수준보다 다소 높게 나타났으며(M=12.11), 전형적인 핵가족을 가족으로 인식하는 비율이 가장 높았다. 50% 이상이 가족으로 인식한 가족의 형태로는 확대가족, 입양가족, 한부모가족, 재혼가족, 미혼모가족, 무자녀가족, 동성애가족, 자매 또는 사촌간의 동거가족, 노인 1인가족이었다.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차이검증에서는 종교를 갖고 있지 않는 대학생이 종교를 갖고 있는 대학생보다 가족 다양성 수용도가 높았다. 가족 다양성 수용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면 개인적 요인에서는 전통적 가족주의 가치관이 낮을수록, 조망수용능력이 높을수록, 가족적 요인에서는 부모의 양성평등의식이 높을수록 가족 다양성 수용도가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가족적 요인인 부모-자녀 개방형 의사소통은 가족 다양성 수용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가족 다양성 수용도에 가장 큰 영향력을 나타낸 요인으로는 전통적 가족주의 가치관이었다. 본 연구는 대학생이 가족이라고 인식하는 가족의 형태를 알아봄으로써 ‘가족’을 재정의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또한 사회통합에 기여할 수 있도록, 다양한 가족을 이해하고 가족 다양성 수용도를 높이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자료로써 가치가 있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cceptance of family diversity among college students and related variables. Method: Data were collected by a structured questionnaire with 280 students who attended in three universities located in J province. SPSS Statistics Program version 24.0 was used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To answer the research questions,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F-test, Pearson’s correlation analyses, and regression analyses were performed. Results: The major results of the survey were summarized as below. First, the acceptance of family diversity among college students was slightly higher than the middle level(M=12.11). Most students accepted nuclear family as a typical family. More than half of the students accepted single parent families, adaptive families, step families, unmarried mother families, childless couples, homosexual families, elderly women living alone, and families composed of siblings as a family.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y religiosity. Students without religion were higher than their counterparts with religion in a level of family diversity acceptance. Among the individual factors, third, a level of traditional family value had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a level of family diversity acceptance. And perspective taking had a positive effect on a level of family diversity acceptance. Fourth, among the family factors, parent-child open communication did not affect a level of family diversity acceptance. However, parents’ gender egalitarian beliefs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a level of family diversity acceptance. Lastly, regarding the relative effects of the personal and family factors, the traditional family value had the largest effect on a level of family diversity acceptance among college students. Conclusions: Base on these results,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wer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