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07년 스마트폰이 출시된 이후, 최근 10년 동안 IT 기술의 폭발적인 성장은 태블릿PC, 스마트TV 등 다양한 단말들의 출시를 야기하였으며, 더욱이 향후 IoT 기반의 초연결 네트워크 사회에서는 보다 폭발적인 단말의 홍수가 예상된다. 다양한 단말들의 출시 이면에는 파편화라는 문제가 상존하며, 이러한 파편화 문제에 대한 대안으로 최근 몇 년간 가장 주목을 받고 있는 기술이 웹 표준 기술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인터넷 이용자의 웹 브라우저가 최신 웹 표준 기술인 HTML5에 대해 얼마나 수용할 준비가 되어 있는지에 대한 지수를 모델링 한다. HTML5 수용 준비도 지수는 이용자의 웹 브라우저에 사용 가능한 HTML5 기능별 점수에 대한 가중치 곱으로 산출한다. 해당 지수를 활용하여 거시적인 차원으로 국가별로 HTML5 수용 준비에 대한 수준을 진단할 수 있으며, 미시적으로는 특정 웹 서비스별로 이용자의 HTML5 수용 준비도를 산출할 수 있다. 이는 국가적인 웹 서비스 정부정책 영역 뿐만 아니라 특정 웹 서비스 제공기업의 전략적인 가치판단의 기초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After smartphone launch in 2007, explosive growth of IT technology led to launch of various devices such as tablet pc, smart tv etc for recent 10 years. Furthermore, explosive growth of devices is expected to be made in the future network society based on IoT. Problem of fragment exists behind the launch of diverse devices, so the web standard technology got attention as a solution to deal with the problem in the recent years. In this study, we developed a model on HTML5 acceptance readiness index of Internet users. HTML5 acceptance readiness index can be calculated by multiplying the weight of HTML5 functional scores that can be used on web browsers of Internet users. The index can be applied to assess the HTML5 acceptance readiness of each country from macro-perspective and it can also be used to calculate HTML5 acceptance readiness of users of specific web service from micro-perspective. This could be used as the basis not only for national policy making sector on webservice but also for strategic decision making of specific webservice provid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