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통일여론조사 연구에 따르면 대북 및 통일정책에 대한 선호도는 정권교체에 따라서 변화하는 반면에 대북정책에 대한 강경과 온건의 평가는 상당히 고정적인 성향을 가진다고 봐야할 것이다. 본 연구는 기존의 대북 및 통일정책의 선호의 변화에 대해서 연령, 성별, 지역, 학력, 소득과 같이 고정적인 형태를 지니는 인구통계학적 변수를 활용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는 데 문제의식을 가지고 출발한다. 기존의 연구에 따르면 정치적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물질주의 세대와 후기물질주의세대로 분리되는 세대현상은 정치문화라고 하는 장기적인 현상이 아니라 단기적인 경제상황에더 민감하게 반응한다고 결론 내렸다. 이에 근거하여 본 연구는 한국인의 통일의식에 영향을미치는 변수는 기존의 인구통계학적 변수인 지역, 연령, 성별보다는 거시경제지표가 설득력있는 독립변수라는 가설을 수립하고 이를 위해 2007년부터 2016년까지 10년간 여론조사 자료를 축적해온 『통일의식조사』를 이용하여 시계열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을 위한 독립변수로로 경제성장, 실업율, 물가상승, 지니계수를 모델에 포함시켰는데, 분석결과 통일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에는 경제상황이 개선될수록 통일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이 증가하고 경제상황이 악화될수록 통일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Previous studies about reunification survey have demonstrated that the public preference on the Korean reunification has been flexible depending on the regime change after the presidential election despite the ideological tendency shared among the general public. This study criticizes the argument that the public preference on reunification is a function of demographic variables such as age, gender, location, education, and income level. Since these variables are fixed, they cannot explain the variances in the reunification survey. According to previous studies, the phenomenon that separates the materialist and post-materialist generations influencing political decision-making is not a result of the long-term generation effect called political culture, but rather a response to a short-term macro-economic situation.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stablish the hypothesis that macroeconomic indicators are more persuasive independent variables than the existing demographic variables such as region, age, and sex. I conducted a time-series analysis using the "Unification Awareness Survey" which accumulated the data for 10 years from 2007 to 2016.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recognition of the necessity of unification increases as the economic situation improves and vice vers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