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학년(군) 수준과 학습자 개인의 특성에 맞는 책을 긴 호흡 으로 읽을 수 있도록 ‘한 학기 한 권 읽기’ 통합 독서 활동을 제안하였다(교육부, 2015a, p. 69). 따라서 이 연구는 ‘한 학기 한 권 읽기’ 계획에 있어 초등 교사의 인식을 자기 보고식 설문 조사의 방법으로 살펴보고, 교육적 시사점을 도출하여 앞으로의 실행을 보완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 학기 한 권 읽기’와 관련된 목표, 학급 교육과정 운영 계획, ‘한 학기 한 권 읽기’에서 가장 중점을 두고 지도하는 요소 및 지도하기 곤란한 요소를 묻는 문항 등으로 설문 문항을 구성하였고, ‘한 학기 한 권 읽기’에 대한 초등 교사의 인식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 교사들은 ‘한 학기 한 권 읽기’에 대한 교육 목표를 ‘책읽기를 위한 내적 동기 강화’로 보았다. 둘째, ‘한 학기 한 권 읽기’의 운영 계획에 있어서, 교사들은 독서 활동 자체에 가장 많은 시수를 편성하였다. 이를 위해, 국어 교과 시간, 창의적 체험 활동 시간, 아침 활동 시간에 독서 단원 시수를 확보하여, 책이 원활히 준비되는 학기 중과 말에 주로 독서 단원을 실시할 예정이었다. 셋째, 도서 선정에 있어, 설문에 참여한 59%의 교사가 1권의 책을 선정하여, 학급내 모든 학생들이 읽는 일괄 독서 형태를 선호하였다. 특히, 1권의 책을 일괄 선정하는 경우, ‘느리게 읽기’의 방법으로 독서 단원을 운영하겠다는 응답이 많았다. ‘한 학기한 권 읽기’ 활동 방법에 있어서는 40%의 교사가 독후 활동으로 쓰기 활동을 선호하였다.


This paper tried to look into general awareness of reading one book per semester. The study explored ways how ‘Reading one book per semester’ as a policy to overcome the problems of existing policies, to achieve the goals of reading education, and then to explore different aspects of ‘Reading one book per semester’. For these purposes, questionnaire surveys were conducted with elementary school teachers across the country. Most of respondents agreed upon the necessity of ‘Reading one book per semester’. Firstly, elementary school teachers agreed the purpose of ‘Reading one book per semester’ as strengthening the internal motivation for continued reading. Secondly, teachers have shown plans to organize and operate large numbers of in terms of the action plan for reading activities themselves. Thirdly, it seems that teachers need to be available a variety of examples of ‘Reading one book per semester’. However, it seems that there is a lack of understanding how to read one book per semester. Many of teachers were confused how to choose the book and organize the curriculum for ‘Reading one book per semest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