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생의 불안정애착과 내재화 문제와의 관계를 알아보고 자비불안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하여 수도권 소재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청소년 애착유형 척도(ECR-R), 한국판 자비불안 척도, 우울척도(CES-D), 청소년용 사회불안척도(K-SAS-A)를 활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252명의 자료가 최종 분석에 사용되었다. 고등학생의 불안정애착과 자비불안, 내재화 문제(우울, 사회불안)간의 상관을 알아보았고 매개 효과 검증을 위해 Baron과Kenny의 3단계의 절차에 따라 회귀분석을 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등학생의 불안애착, 회피애착, 타인을 향한 자비불안, 타인에게 받는 자비불안, 자기자비불안, 우울, 사회불안 간에는 유의한 정적인 상관이 나타났다. 둘째, 자비불안은 고등학생의 불안정애착과 우울 및 사회불안과의 관계를 부분 매개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고등학생의 불안정 애착이 우울 및 사회 불안에 미치는 영향을 감소시키는데 요구되는 심리적 기제와 개입 방안을탐색하였다는데 의의를 찾을 수 있으며 끝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s of fear of compassion in the effect of insecure attachment on internalizing problems of high school student's behavior. For this purpose,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based on data collected from 252 students of high schools aged 16-18. The results of the analysis we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anxious attachment, avoidant attachment, fear of compassion for others, fear of compassion from others, fear of compassion for self, depression, and social anxiety. Second, fear of compassion is partially mediated between inscure attachment and depression, social anxiety.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discussed implications regarding psychological mechanisms and psychological interventions about internalizing problem of high school student's behavior, limitations and proposals for further resear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