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는 50년 전 한일국교정상화 회담이 진행되던 기간 지속되었던 한일협정반대운동의 주체, 그들의 정치적 주장과 이념, 운동양태의 변화를 기존의 역사적 기술과 국회 본회의와 관련 상임위원회 속기록을 분석하여 되새김질하였다. 한일협정반대운동의 주체와운동방식은 유동성과 다양성을 보여주고 있다. 초기 3·24 시위는 소수의 민족주의비교연구회의 리더 집단의 주도로 시작되었으나, 비준 저지의 단계에서는 전국대학 연합조직인각 대학연합체가 주체로 등장한다. 운동의 양태는 일사분란하게 움직여야 하는 경우 작은규모의 수직적 조직이 필요하지만, 대중적이며 분산적 운동의 경우 수평적이며 느슨한 조직 운용이 유리하다. 결국 상황의 변화와 효율적 운동의 접점에서 운동조직의 확대와 연대체의 결성을 위해 넘어야할 걸림돌이 산재했다. 한일협정반대에서 나타난 이념적 정향은민족주의, 반외세, 반미, 반일과 혐일, 그리고 반정부, 민주 등이다. 이념적 정향의 변화기조는 민족주의가 일관되게 지속되는 가운데 반정부와 민주의 이념이 부가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the changing pictures of anti-movementagainst the normalization of Korea-Japan diplomatic relations fifty years ago. Itfocuses on the actors, organizations, political ideologies and claims by analyzinghistorical records and documents such as congressional stenographic records. Thefirst stage of 3.24 demonstration was led by small elite group of college studentsand later the leading organization was enlarged and loosened as the movementbecame popular. Ideological orientations of anti-movement were mainly nationalismand anti-Japan. As anti-movements became accelerated, anti-government andanti-america slogan additionally prevailed. Although the period of anti-movementagainst the Korea-Japan diplomatic normalization was not that long, the processwas so dynamic and changing pictures of actors, organizations, ideologies werevividly ob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