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on and moderation roles of subjective social status (SSS)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family economic stress and life satisfaction among household heads in Korea. To test the conceptual framework, mediation and moderation regression models were employed, using the 18th wave from the Korean Labor and Income Panel Study (KLIPS) data which was collected in 2015. The final sample was 5,969 household head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household heads’ SSS was directly influenced by multiple independent variables in objective economic hardships (i.e., family per capital income, household net worth) and subjective economic strain (i.e., self-rated financial situation, satisfaction of household income). Also, SSS had a direct positive effect on life satisfaction. Second, SSS mediated partially the effects of self-rated financial situation and satisfaction of income as subjective economic stressors and fully the effect of family per capita income as an objective economic stressor on life satisfaction. Third, SSS played a moderating role in the associations between family per capital income and household heads’ life satisfaction, and between satisfaction of income and the life satisfaction. These empirical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were discussed by validating or extending the existing literature regarding SSS. Several implication and suggestion, limitation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for social work practice and policy makers are discussed.


본 연구의 목적은 가구의 경제적 스트레스와 가구주의 생활만족도와의 관계에서 가구주의 주관적 계층의식의 매개 및 조절역할을 살펴보는 것이다. 본 연구를 위하여 2015년도에 조사된 한국노동패널조사 18차 년도 자료를 이용하여, 최종표본인 5,696 가구주를 연구대상으로 추출하였고 매개 및 중재효과 회귀모형을 분석하였다. 주요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구의 객관적인 경제적 어려움(예: 1인당 가구소득, 가구의 순자산)과 주관적인 경제적 부담감(예: 가구의 경제적 상황에 대한 자기평가, 소득만족도)은 가구주의 주관적 계층의식에 직접적인 부적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가구주의 주관적 계층의식은 가구주의 생활만족도에 직접적인 정적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가구주의 주관적 계층의식은 주관적인 경제적 부담감과 가구주의 생활만족도와의 관계를 부분적으로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가구의 객관적인 경제적 어려움인 1인당 가구소득과 가구주의 생활만족도 사이에서는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가구주의 주관적 계층의식은 객관적 경제적 어려움인 1인당 가구소득과 가구주의 생활만족도와의 관계에서 그리고 주관적 경제적 부담감인 소득만족도와 가구주의 생활만족도와의 관계에서 조절요인으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주관적 계층의식에 관한 기존의 문헌을 검증하고 확장함으로써 연구의 의의가 있고, 결과를 토대로 실천적이고 정책적인 함의를 제시하고 향후 연구 방향을 논의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