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This article examines social capital in sport participation as a means of benchmarking future programs in South Korea. A narrative literature review of previous studies was done for this articles research methodology. An analysis of sport ethics was also undertaken to parallel how moral education and social capital are achievable through sport. Previous studies related to immigrants, social capital, and sport were reviewed. This was done according to a narrative overview scale created by Green, Johnson, & Adams (2006). The purpose of this was to amass all relevant literature and then benchmark previous studies for implementation in Korea. This research has shown evidence that sport participation leads to environments that facilitate moral education for participants. If sport programs are set up for group dynamics of immigrants in Korea, sport participation can help facilitate social capital for participants. Finally, this study shows that obstacles preventing participation in sport for Korean immigrant women are predicated on sociocultural backgrounds, economic and family responsibilities.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support sport to be used as a means to help facilitate improved relations and social capital for female immigrant women of South Korea.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이주민 여성들의 스포츠 활동 참여와 사회적 자본 형성 가능성의 관계를 탐색함으로써 이주민 여성의 사회적응을 촉진하기 위한 스포츠정책 및 스포츠 프로그램 개발연구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통합적 문헌고찰 방법을 활용하여 사회적 자본의 이론적 분석을 실시하고, 스포츠 프로그램을 사회적 자본의 관점에서 고찰하였다. 또한 도덕교육과 사회자본이 어떻게 스포츠를 통해 얻어질 수 있는지를 규명하기 위해 국내외관련 문헌과 해외 교육프로그램 및 사례를 분석하였다. 끝으로, Green, Johnson, & Adams (2006)가 개발한 ‘내러티브 개요 등급’에 근거하여 이주민, 사회자본, 스포츠에 관련된 문헌들을고찰하고 취사선택한 후 등급을 매겨 평가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주민 여성의 스포츠참여 활동은 사회적 자본의 구성요소들과 긴밀한 연관성을 가지고 있으며, 스포츠가 인성교육의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이주민 여성들 사이의 관계를 향상시키고 사회적응을 촉진할 수있음을 규명하였다. 둘째, 이주민 여성들의 스포츠참여 장벽의 요인으로는 사회문화적 배경, 경제적 의무, 가족에 대한 책임 등으로 나타났다. 셋째, 스포츠참여와 사회적 자본이 가치 지향적이고 관계중심적인 결합과 순환을 통하여 안정적인 발전을 이룰 수 있음을 주장하였다. 본 연구는이주민 여성의 스포츠 활동 참여의 사회적 가치와 필요성을 제시하고, 스포츠 활동 참여에 따른사회적 자본의 형성을 통해 한국사회 구성원으로서 성공적인 자립에 필요한 역량 개발 가능성에대한 논의의 출발점을 제공한 것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