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글은 남북한이 문화의 이질성을 해소하고 문화예술 교류 성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공동의 문화콘텐츠 발굴, 제작하고 세계시장에서 전파하여 공동의한류를 창출하는 등 보다 선제적인 방법을 취할 것을 주문한다. 그것은 현재의 한반도 평화프로세스가 놓여있는 정보커뮤니케이션 환경이 쌍방향의 소통과 세계청중과의 지구적 연결에 의해 과거와는 근본적으로 다른 성격을 갖기 때문이다. 현재 북한의 문화예술은 당의 프로퍼갠더 수단으로서 기능하고 있고 북한 주민들은 외부 디지털 문화콘텐츠를 당국의 적발을 피해 개인의 향유 대상으로서 소비하고 있다. 앞으로의 남북한 문화예술 교류협력은 과거 북한의 자발적 협력이 두드러졌던 디지털 문화콘텐츠 협력 사업에 주목할 필요가 있으며 현대의 급변하는 정보커뮤니케이션 환경을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있는 남북한 공조전략이 구축되어야 있다. 남북한 공동의 한류와 이윤 창출이가능한 디지털 문화콘텐츠 사업은 남북한 문화예술 협력의 효과적인 방편이될 것이며 한반도 평화프로세스와 맞물려 북한이 종국적으로 비핵화를 이행한다면 북한의 국제적 이미지 개선에도 기여할 것이다.


This paper explores how two Koreas have cooperated in the area of culture and arts in the past and highlights the effectiveness of inter-Korean interchange and joint project especially on digitalizable cultural contents in promoting integration of Korean peoples and making mutual economic profits. Two Koreas’ collaboration on making cultural contents is expected to restore North Korea’s international reputation and creating new, unified Korean Hallyu as North Korea proceeds its promise of denuclearization and Korean Peninsula’s peace process continues. A new approach of opening reclusive North Korean regime needs to address the incentive of North Korea’s elite groups as potential innovators to adopt outside culture rather than activates North Korean public’s bottom-up pressure of permitting inflow of outside cultural contents that have been prohibited by the North’s govern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