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적기업의 성과에 작용하는 영향요인을 규명하는 것이다. 사회적기업 운영주체의 인식에 주목하는 기존 연구와는 달리, 본 연구는 사회적기업 업무를 담당하는 지방정부 공무원의 인식을 바탕으로 하였다. 한국 사회적기업은 정부주도의 정책 과제로 설계되었고, 사회적기업 운영에 있어서 정부지원의 중요성을 감안할 때, 공무원의 인식이 갖는 의미가 적지 않기 때문이다. 이러한 문제의식에 따라, 본 연구는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사회적기업의 개념, 사회적 성과(취약계층일자리 창출, 사회서비스 제공), 그리고 사회적 성과에 작용하는 영향요인(사회적기업가정신, 정부지원, 사회자본)으로 구성된 이론적 모형을 도출하였다. 이론적 모형의 타당성을 사회적기업 업무를 담당하는 지방공무원 193명을 대상으로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사회적 성과 중 취약계층일자리 창출의 경우, 사회적기업가정신을 구성하는 사회적가치지향성(+), 기업지향성(+)의 영향력이 발견되었다. 또한 정부지원 중 판로지원(+)이, 그리고 사회자본 중 인지자본(+)의 영향력이 확인되었다. 한편, 사회적 성과 중 사회서비스 제공의 경우, 사회적기업가정신 중 사회적가치지향성(+)이 작용한데 반해 기업지향성의 영향력은 확인되지 않았다. 일자리 창출에 판로지원이 작용한 것과 달리 정부지원(재정, 경영, 판로)모두 사회서비스 제공에 미치는 유의미한 영향력이 발견되지 않았다. 한편, 사회자본 중 구조자본(+)의 유의미한 영향력이 발견되었다. 이상의 결과가 갖는 의미와 관련 정책에 주는 함의를 심층적으로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factors affecting social performance of social enterprises. Unlike the existing studies that pay attention to the perception of social enterprise operators, this study focuses on public officials in local governments, who are in charge of positions related to social enterprise. Given that the social enterprise has been designed as a government-led policy, the perception of public officials is significant to identify antecedents for performance of social enterprises. Bearing this in mind, this study addresses definition of social enterprise and social performance (job creation of vulnerable groups, social service provision), and identifies antecedents of social performance such as social entrepreneurship, government supports and social capital. Based on them, a theoretical model is derived and the empirical validity of the model is verified with 193 public officials in local governments. Findings are as follows. For the job creation of socially vulnerable groups, social value orientation based on social entrepreneurship (+) and business orientation (+) have significant effect. For the governmental supports, marketing support (+) is significant on job creation. Regarding social capitals, the effect of cognitive capital (+) is statically confirmed. In the meantime, for provision of social services, social value orientation is positively related, whereas none of government supports (finance, management, market) has a significant influence on social service provision. On the contrast, a significant effect of structural capital (+) on social service provision is confirmed. The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are discussed in dept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