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는 초⋅중등학교 저작권 교육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을 탐색해 보았다. 이 연구는 Q 방법론을 적용하여초⋅중등학교 저작권 교육에 대한 교사들의 네 가지 주요 인식 유형을 파악하였다. 유형 A는 “변화하는 저작권환경 사전 대비형”, 유형 B는 “저작권 의식 형성 지향 계몽형”, 유형 C는 “사회적 가치 지향형”, 그리고 유형D는 “저작권 침해 예방을 위한 교육개혁형”으로 정의할 수 있다. 이 네 가지 교사들의 인식 유형은 우리나라초⋅중등학교 저작권 교육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이 반영된 것이다. 이 연구결과는 연구방법론 등의 측면에서저작권 교육과 관련된 기존의 연구결과를 보완⋅진화시키는데 도움이 될 것이며, 청소년들을 위한 저작권 교육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important types of teachers’ perceptions on the copyright education i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 in Korea. Through Q-methodology, four types of teachers’ notable perceptions were identified. Type A represents a proactive one towards changing copyright environments. Type B can be defined as an enlightenment one trying to build up the sense of copyright. Type C is a social value oriented one which regards copyright education as a means for cultivating social responsibilities. Type D can be identified as one pursuing educational reform for preventing copyright infringement. Of the four types of teachers’ perceptions this study found out, type A has the strongest explanatory power, recognizing that adolescents should be prepared in advance for dealing with difficult copyright issues in changing copyright environm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teachers perceive the necessity of copyright education. In conclusion, more realistic and effective measures are needed for the improvement of the copyright education i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