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오늘날 다양해지고 복잡해지고 있는 행정수요에 대처하기 위해서 보다 전문적인 지식과 기술을 공무원들에게 필요로 하고 있다. 이에 공무원의 개개인의 능력과 자질을 함양해주기 위한 효율적인 인적자원관리 전략으로서 진성리더십이 적절하다고 판단되어 진성리더십과 직무관련성과의 관계를 실증분석하였다. 실증분석결과 진성리더십은 직무열의와 직무몰입에, 직무열의는 직무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기초로 하여 상관과 부하 간의 의사전달의 활성화와 부하들이 담당직무에 대해 보다 직무충실할 수 있는 촉진적인 리더십을 강조하였다. 그리고 특정지역의 기초자치단체 공무원으로 한정함으로 인한 연구결과의 일반화에 대한 한계점을 제시하였다.


To cope with diverse and complex administrative demands, more and more specialized knowledge and skills are needed by public servants. This study empirically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authentic leadership and job-related performance as it is judged that authentic leadership is appropriate as an effective human resource management strategy to cultivate the individual ability and qualities of public servants. Empirical analysis showed that authentic leadership affects job engagement and job commitment, and job engagement affects job commitment.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I emphasized the activation of communication between the supervisor and the subordinates, and the facilitative leadership in which the subordinates can be more faithful to their duties. In addition, there is a limit to the generalization of research results because it is limited to public servants in a certain local govern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