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만주, 몽골, 티베트를 주축으로 하는 내륙아시아의 정치 질서는 크게 세 차례에 걸친 몽골의 복속 과정을 통해 점차 청조 중심의 질서로 재편되었다. 특히 준가르 몽골의 복속을 전후하여 내륙아시아의 정치 질서는 큰 변화를 맞이했는데 준가르 몽골이 청조에 복속되는 1758년의 사건에 앞서 이미 후흐노르(靑海湖) 일대에 근거했던 구시한의 후손들이 청조에 복속되었다. 구시한 후손들의 영향 아래 있던 티베트 또한 청조의 영향 아래 놓이게 되었으니 6세 달라이라마의 전세 문제는 그 중요한 고비가 된 사건이었다. 우리가 만주, 몽골, 티베트를 내륙아시아의 주요 구성원이라고 규정한 데는 이들이 한때 몽골의 영향 아래에 있었다는 공통점이 작용했다. 그런 이유에서 16세기 후반 본격화되는 티베트 불교의 몽골 전교는 불교적 예의를 내륙아시아 전역으로 확산시키는 데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뒤이은 정치 질서의 변화에 따라 내륙아시아의 예의 제도는 청조를 중심으로 다시금 재편될 수 밖에 없었다. 이 글은 티베트 불교와 청조의 관계를 다룬 다양한 정치사 관련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내륙아시아 불교 예의의 형성 과정을 살피고자 하는 목적에서 시작되었다. 불교적 예의가 내륙아시아에서 작동하는 사례를 소개함으로써 그 구조에 접근하고자 하였다. 특히 시기적으로 몽골 복속이 완성되기 이전 시기에 초점을 맞춤으로써 청조에 의한 예의 재편 이전의 모습을 조명하고자 하였다. 장래 필자는 이러한 불교적 예의가 정치사적으로 의미 있게 작동하는 예를 소개함으로써 17세기 내륙아시아의 불교적 예의가 청조 중심으로 재편되는 과정을 추적하고자 한다. 이 글은 본격적인 재편 과정 연구의 시론으로서 5세 달라이라마 시기 형성된 예의의 면면을 불교식 칭호 梵封, 활불(호톡토), 좌석 배치 문서 “덴익” 등 몇 가지 사안으로 나눠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내륙아시아에 불교적 예의가 어떻게 권위를 갖고 운용되었는가?” 하는 점을 논해 보았다.


This paper focused on the Rituals for political ceremonies among the Inner Asian World mainly includes Mongol, Tibet, and the Qing during the 17th century. In most cultural regions, sociery members commonly have formed their own indigenous ritual system which may be prescribed by the traditions of a community, including a religio-political community. The Mongol, Tibet and the Manchu of Qing dynasty all had had a typical nationality, even though they had shared the common tradition derived from the nomadic culture. But from the late 16th and the 17th centuries, they made political coalitions each other and simultaneously shared the religion, Tibetan Buddhism. The third, the 5th Dalai Lama and the 6th Panchen Lama individually visited A-mdo Mongols, some southern Mongolian cities accompanying temples and Beijing. Some changes in Ritual system arouse from their visitings to temples and cities in Inner Asia. Buddhist monk from the Geluk, the Yellow Hat sect had been sent to the every corner of the Inner Asia including the Manchu court as an resident officer from Lhasa, though after the demise of Dzongar Mongols some monks had been sent from Qing court. Especially the Qutughtu(Living Buddha) recognized officially from the Geluk presided over political ceremonies around the Inner Asia like as Council, Assembly and so on. Mongols had kept for a long time the Kuriltai ceremony as the most important political and military council of the ancient tradition. After conversion to the Tibetan Buddhism, Mongols accepted Rituals of the Fan-Feng(梵封), Qutughtu(Living Buddha) and seating arrangements based on the gdan yig. These Ritual system firmly connected to the Geluk sect of Lhasa managed by Dalai Lama. But Mongols accepted rituals managed by Tibetan monks for the rebuilt of Mongol Empire of Qinggis Khan, so Mongols selectively reconciled the Inner Asian Rituals correlated with Tibetan Buddhism for political purpos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