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사회적 상황에서 자기제시 기대와 자기초점 주의가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이원상호작용 가설을 세우고 실험을 통하여 검증하였다. 2(자기제시 기대 : 저/고) x 2(자기초점 주의 : 외부초점/내부초점)의 완전무선설계였으며 대학생 69명의 자료가 사용되었다. 자기초점은 외부초점과 내부초점으로 나누어 3분 동안 글을 작성하도록 하였고, 자기소개를 평가받을 것을 알려주고 6분간 준비하도록 하였다. 카메라가 설치된 컴퓨터로 자리를 옮긴 후 자기소개 도중 평가가 3회 나타남을 고지하였다. 발표 시 3회의 평가를 통해 자기제시 기대를 고, 저로 조작하였다. 두 번째 발표를 앞두고 사회적 공포 적도를 측정하여 사회불안을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자기초점을 자신의 내부에 초점을 맞춘 집단은 자기제시 기대가 낮은 집단 보다 높은 집단이 사회불안이 유의하게 높았다. 반면 자기초점이 자신의 외부에 초점을 맞춘 집단은 자기제시 기대가 낮은 집단과 높은 집단사이에 차이가 유의하지 않았다. 이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 그리고 장래 연구 방향을 논의하였다.


In this study, a main hypothesis regarding the influence of self-presentation expectancy and self-focused attention on social anxiety in a social context and proved it through an experiment. The experiment was perform in a completely randomized design method with categories of 2(self-presentation expectancy: low/high) x 2(self-focused attention: external focus/internal focus) structure and 69 university students participated in it. The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 external focused group and a internal focused group. Each participants wrote an essay for 3 minutes. Then they had to prepare a self-introduction for 6 minutes. They were evaluated 3 times during the self introduction in front of a camera. Lastly, through the 3 evaluations, the participants received a low or high self-presentation expectancy. Before a second presentation, a level of the social fear was measured through social anxiety scale. According to the analysis, for the case of the internal focus group, those with high self-presentation expectancy had significantly more social anxiety than those with low self-presentation expectancy. However, for the case of the external focus group,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ose with high self-presentation expectancy and those with low self-presentation expectancy. Based on the results, the suggestions and limitations of future research were also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