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현대 통증 연구에 있어서 통증 개념은 감각적 측면이 중시되는 신경생리학적인 경험에서 인지, 정서적 요인을 포괄하는 복합적인 경험으로 변화가 이루어져 왔다. 또한 전통적인 의학적 접근으로 통증이 완화되지 않는 환자들을 이해하고 치료함에 있어 심리사회적인 개입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통증 파국화가 타인에게 자신의 통증을 전달함으로써 관심과 지지를 얻으려는 대처전략의 일부라고 보는 연구 흐름을 검토하였고, 통증 파국화를 대인관계 맥락에서 파악하기 위해 지지요구신념, 지지추구행동을 통증 경험의 변인들로 연구에 포함시켰다. 통증을 경험하는 일반 대학생 169명을 대상으로 통증 경험의 특성들과 정서표현 및 대인관계 문제 영역의 관련성을 살펴보았다. 정서표현양가성과 분노 억제는 통증 심각도의 영향을 통제한 후에도 통증 파국화에 영향을 미쳤다. 통증 파국화는 모든 대인관계문제 영역과 유의미한 상관을 보였으나, 통증관련 지지요구신념은 친밀 동기 축에 해당하는 과관여, 자기희생, 과순응성 문제와만 유의미한 상관을 보였다. 통증 파국화는 통증관련 지지요구신념 및 지지추구행동에 영향을 미쳤으며, 우호-순종의 대인관계 문제는 통증 파국화와 타인의 반응을 처벌로 지각하는 수준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는 일반적인 심리사회적 특성이 통증의 대처 방식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함으로써, 통증으로 인한 부적응을 호소하는 개인에게 필요한 심리사회적 개입 지침을 구체화하였다는 의의를 갖는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college students’ general pain experience in a broad context, including emotional expressions, interpersonal problems, pain catastrophizing, perceived entitlement to pain-related support, and pain-related support seeking behavior. One hundred and sixty nine college students who reported experiencing pain participated in the study.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anger suppression significantly predicted pain catastrophizing even when the effect of pain severity was controlled. All domains of interpersonal problems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pain catastrophizing tendency, but only friendly-submissive interpersonal problems were related to perceived entitlement to pain-related support. This study suggests that one’s general psychosocial features including emotional expressions and interpersonal problems can influence the experiences of pain and its expressions to others. The results would contribute to identifying a therapeutic entry point for a person suffering from pain.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wer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