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에서는 정신건강의학과를 내원한 외래 환자를 대상으로 MMPI-2를 실시하여 잠재 집단을 분류하고 각 집단에 대한 PAI 관련요인을 탐색하여 치료적 개입을 제안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MMPI-2에 대한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시행하여 잠재집단 유형과 특징을 살펴보고 PAI와의 관계를 조사하였다. 총 224명의 임상군이 응답한 MMPI-2 자료를 바탕으로 실시한 잠재프로파일 분석 결과, 세 가지 잠재집단이 산출되었다. 각 잠재집단은 MMPI-2 프로파일에 따라 ‘잠재 증상 내재군’, ‘신경증적 증상 호소군’, ‘고위험 가능군’으로 명명하였다.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한 PAI 변인들의 영향요인 탐색 결과, ‘공격성(AGG)'척도의 T점수가 높을수록 신경증적 증상 호소군보다 잠재 증상 내재군에 속할 가능성이 높았다. 또한 ‘자살관념(SUI)’척도의 T점수가 높을수록 잠재 증상 내재군과 신경증적 증상 호소군보다 고위험 가능군에 속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와 함께 마지막으로 연구 결과에 대한 의의 및 한계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dentify classes based on the results of MMPI-2 and PAI in outpatients and to propose therapeutic interventions by verifying the influence of the variables on each group. Latent profiles analysis of MMPI-2 was conducted to examine types and characters of latent classes and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with PAI. Results showed three latent classes, “Potential underlying symptoms group”, “Neurotic symptoms by self-report group” and “Potential high-risk group”. According to the results that showed the influence of PAI variables, the higher the T score of ‘Aggression(AGG)’ scale, it was highly possible to be contained in the “Potential underlying symptoms group” than in the “Neurotic symptoms by self-report group”. Also, the higher the T score of ‘Suicide ideation(SUI)’ scale, it was highly possible to be contained in the “Potential high-risk group” than in the “Potential underlying symptoms group” and the “Neurotic symptoms by self-report group”. Finally, based on the results, the implication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wer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