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오늘날 조선사회의 지배층인 양반은 사회를 공적으로 운영하는 도덕적 지배자로 이해되기도 하지만, 다른 한편으로 그 이면에 사적 이익을 추구하는 경제적 지배자로 인식되기도 한다. 나아가, 공/사 구분없이 무분별하게 국가의 공적 자원을 사적으로 유용함으로써 스스로 설정한 공적 규칙을 침해하고 그럼으로써 교묘히 이득을 취하는 위선적 존재로서의 양반의 면모도 밝혀지고 있다. 이 같은 양반의 이중성을 어떻게 이해해야 하는가. 그리고 그 같은 모순적인 지배자를 중심으로 하는 조선 지배체제의 공적인 성격을 어떻게 규정해야 하는가. 본 연구에서는 이 질문에 답하기 위해 양반이 국가적 자원을 사적으로 취하는 가장 전형적인 현장인 지방 고을에서의 요역(연호 잡역) 동원의 사례를 살펴보았다. 특히, 기존의 사건, 법제 등에 대한 관심에서 더 나아가 한 지방 양반의 일기 자료를 토대로 상황적 맥락과 관행, 내적 동기 등에 주목하여 이를 살펴보았다. 이 결과 양반에 의한 공적 자원의 유용은 당대 생산력 발전수준과 민중층이 처한 현실, 그리고 사회적 생산에 대한 그들의 기여를 전체적으로 고려하여 그것을 이해해야 한다는 결론에 도달하였다. 또한 조선사회의 변동과 민중의 성장에 따라 지배체제가 창출하는 공공성의 성격 역시 변화해 가고 있었다고 생각된다.


Today, Yangban, the rulers of the Joseon society is regarded as a moral rulers who ran society publicly, but on the other hand they are perceived as an economic rulers pursuing private interests behind it. Furthermore, they are also revealed as hypocrite who infringe on public rules set by themselves by exploiting the public resources of the state indiscriminately, and taking advantage of it. How should we understand the duality of them? And how should we define the public nature of the Joseon’s domination system centered on such contradictory rulers? In order to answer this question, this study examines the case of mobilization of the labour tax in the region county, which is the most typical site where Yangban takes national resources privately. In particular, I focused on the situational context, practices, and internal motivation based on diary data of a local man in addition to the interest in events and legal system which is mattered before. As a result, I concluded that we should take into account the level of productivity of that ages, the reality of the people, and their contribution to social production in order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private use of public resources by Yangban. In addition, I think that the nature of the publicness created by the domination system was also changing according to the social changes of the Joseon Dynasty and the growth of the peop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