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목적: 급성 폐쇄각녹내장이 선행한 비전형적인 보그트-고야나기-하라다병 1예를 보고하고자 한다. 증례요약: 48세 여자가 4일 전부터 시작된 두통 및 안통을 동반한 양안 시력저하를 주소로 내원하였다. 환자는 10년간 경구용 피임약복용의 과거력 이외에 특이사항은 없었다. 타 병원에서 처방받은 안압하강제 사용 후 안압은 정상화되었으나 양안 전방의 깊이는 여전히 얕았고, 홍채-수정체 가로막이 전방으로 전위되어 있어 본원으로 진료 의뢰되었다. 본원에서 레이저홍채절개술 시행 후 전방의 깊이는 불완전하게 회복되었으나, 여전히 시력은 회복되지 않았으며 안구 초음파 검사에서 맥락막 삼출 소견을 확인하였다. 양안의 전안부 염증과 빛간섭단층촬영에서 황반부에 막구조물로 구획화된 장액망막박리가 관찰되었으나, 전형적인 보그트-고야나기-하라다병과는 달리 형광안저혈관조영술에서는 이와 일치하는 다발성의 형광 누출 소견은 보이지 않았다. 비전형적인 보그트-고야나기- 하라다병으로 진단하고 점안치료와 더불어 고용량 부신피질호르몬 요법 후 부신피질호르몬과 면역억제제를 경구 투여하였다. 1개월 뒤 장액망막박리는 소실되었고 3개월 뒤 시력은 호전되었으며 현재까지 재발 없이 경과관찰 중이다. 결론: 본 증례를 통하여 비전형적인 보그트-고야나기-하라다병의 초기 소견으로 급성 폐쇄각녹내장이 선행해서 나타날 수 있음을 경험하였다. 따라서 레이저홍채절개술을 비롯한 폐쇄각녹내장의 치료 시행 후에도 호전되지 않을 경우 보그트-고야나기-하라다병을 포함한 다른 질환의 동반 가능성을 반드시 염두에 두고, 추적관찰을 해야할 것이다.


Purpose: To report a case of atypical Vogt–Koyanagi–Harada disease that occurred after an acute angle closure glaucoma attack. Case summary: A 48-year-old female presented with bilateral visual disturbance accompanied by headache and ocular pain. The patient had no specific past medical or family history except taking oral contraceptives for 10 years. Despite the normalization of intraocular pressure in a local clinic, a shallow-depth anterior chamber and forward displacement of the iris–lens diaphragm remained unresolved. The depth of the anterior chamber had increased in both eyes after laser therapy but without recovery of her visual acuity. B-scans showed ciliochoroidal effusion. Anterior chamber inflammation was observed in both eyes.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showed lobulated and serous retinal detachment involving the macula of both eyes. However, fluorescence angiography findings showed no multiple hyperfluorescence, which is unusual for typical cases of Vogt–Koyanagi– Harada disease. The patient was diagnosed with atypical Vogt–Koyanagi–Harada disease and was treated with eyedrops and intravenous steroid pulse therapy, after which she was converted to oral medications with immunosuppressants. After 1 month, no serous retinal detachment was detected. After 3 months, best corrected visual acuity (logMAR) was 0.0 in both eyes, and there has been no recurrence on follow-up. Conclusions: Atypical Vogt–Koyanagi–Harada disease at presentation can mimic acute attacks of angle closure glaucoma. Therefore, if there is no improvement after treatment for angle closure glaucoma including laser iridotomy, other diseases including Vogt–Koyanagi–Harada disease must be considered and the patient should be closely monitor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