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논문의 목적은 출애굽기와 오경의 편집에 대한 논의를 이해하는 데 핵심이 되는 출애굽기 32–34장에 등장하는 금송아지 본문을 중심으로 최근 십여 년간 학자들이 다루었던 토의의 초점과 학문적 경향을 분석하고 비평하는 것이다. 먼저 이 연구사에서는 최근 대두되고 있는 학자들의 연구를 중심으로, 각 학자의 논지를 확인하고 그들의 주장을 분석하며 학계에 어떠한 공헌을 하였는지를 평가하려고 한다. 둘째로, 이러한 비평을 통하여 현재의 학문적 경향의 흐름을 탐구하여 보고 학자들 간의 통합적인 주제들을 제시하려고 한다. 마지막으로, 미래의 금송아지 연구를 위해서 가능한 몇 가지 연구 전망을 제안하려고 한다. 본 연구를 통하여 첫째, 여전히 출애굽기 본문의 연구들이 자료가설에 깊게 연루되어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으며, 이는 통시적 공시적 연구를 통하여 먼저 복잡한 편집층의 본질에 대한 이해가 중요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둘째, 아론의 인물특성에 대한 연구는 새로운 토의를 열어주었으나 오경의 다른 본문들과는 약간의 충돌을 보여주고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연구는 조금 더 다듬어야 한다. 셋째, 많은 학자들이 출애굽기 33:7–11의 통시적 해석의 결과로 이 본문이 후대에 추가된 것으로 간주하고 있다. 그러나 공시적 접근을 사용하는 여러 연구들은 이에 동의하고 있지 않다. 그러므로 계속적인 분석이 요청된다. 넷째, 페르시아 시대의 제사장 문서와 편집에 대한 논문들은 우리가 제사장 편집자(the priestly redactor)의 작업을 구별해야 하는지에 대한 이슈를 제공하고 있다. 학자들은 출애굽기 25–40장은 제사장 편집자의 중재에 영향을 받았다고 지적하고 있다. 레위인과 아론 계열 제사장 사이의 관계에 대한 토의와 혹은 사독 계열 제사장들과의 관계에 대한 것도 중요하게 작용할 수 있는 부분이다.


The purpose of this critical analysis is to identify the focus of scholarly interest within the past decade regarding the golden calf episode within the Book of Exodus(ch. 32–34) as it pertains to understanding the Book of Exodus and Pentateuchal studies as a whole. In this article, I first identify each scholar’s thesis, present its argument, and evaluate what contributions the work makes toward scholarship. Second, I closely explore the current state of scholarship in light of my critical reviews and suggest a synthesis of recent scholarly interest which shows where scholars are focusing currently. Finally, I propose some topics that the scholarship on the Book of Exodus may want to address in the future. My analysis shows that, first, recognizing the nature of the complicated redactional layers through diachronic and synchronic readings is important. Second, the study about Aaron’s character opens a new discussion but shows a little conflict with other texts in the Pentateuch. Therefore, it needs to be elaborated. Third, most scholars agree that diachronic readings of Exod 33:7–11 is a late addition. However, they do not agree on the synchronic reading of the same text. Therefore, future analysis is needed. Finally, scholars thoroughly indicate that Exod 25–40 was influenced by the mediation of the priestly redactor. Thus, the discussion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vites and the Aaronide priesthood or perhaps Zedokite priesthood seems to be import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