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우리사회의 다양한 문제 가운데 청년 취업자의 잦은 이직에 대한 문제의식에 기반하고 있다. 취업에 성공한 청년 근로자의 이직은 청년 실업의 주요 원인으로 논의되고 있다. 따라서 ‘어떤 요인이 일자리 지속과 이탈을 결정하는가?’ 라는 연구 질문을 토대로 ‘이직요인’에 대해 분석하였다. 분석을 위해 T-test와 의사결정나무모형(decision tree)을 설계하였다. 자발적 이직 예측을 위해 요인 간의 상호작용과 이직의사가 높은 집단의 특성에 대한 분석을 시도하였다. 분석결과, 청년 취업자 이직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은 직무요인 중 ‘직무-기술 적합도’와 ‘복리후생 만족도’, 그리고 외부환경 요인 중 ‘임금/소득 만족도’와 ‘교육수준’이 다른 요인을 우선하여 이직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수로 도출되었다. 특히 이직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 간 조합에도, 고위험집단은 ‘직무-기술 수준’이 낮고, 조직의 ‘복리후생제도’의 만족도가 매우 낮으며, 4년제 대학을 졸업한 것으로 도출되었다. 이상의 분석결과에 근거하여, 본 연구에서는 청년 취업자의 이직 의사 영향요인에 대한 정책적 함의를 제시하여 향후 청년 취업자 노동정책 관련 정책설계 및 대응방안 마련에 기여하고자 한다.


This study is about the frequent turnover of youth workers among various problems in our society. We analyze the factors of ‘job turnover’ in order to clarify what factors determine job continuance and departure. T-test and decision tree were designed for analysis. In order to predict voluntary turnover, we tried to analyze the interaction between factor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group with high turnover intentions. As a result of analysis, major factors affecting the willingness to leave the youth employment were ‘job-skill fit’, ‘welfare benefit satisfaction’, ‘wage/income satisfaction’ and ‘education level’. Especially, in the combination of variables affecting the turnover intention, the high risk group was found to have a low job - skill level and a very low satisfaction level of the welfare system, and graduated from university. Based on the above analysis, this study suggests the policy implication of factors influencing the turnover intention of the youth worker and contributes to the policy design and countermeasure plan of the youth worker 's future labor policy in the fu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