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는 학병 체험을 바탕으로 하고 있는 한운사의 ‘아로운 3부작’, 이가 형의「버마戰線敗殘記」와 『분노의 강』, 이병주의 『관부연락선』을 대상으로 학 병의 글쓰기에서 나타난 학병의 내면의식에 주목해 보았다. ‘학병체험’이라는 과거와 마주하고 있는 소설들에 나타난 내면의식을 추적하면서 첫째, 정당한 동 기 없이 자의적으로 학병을 선택했다는 데에서 오는 죄의식과 한편으로는 어쩔 수 없는 선택이었다는 운명론이 서로 충돌하는 지점에 소설적 형상화를 통한 학 병의 글쓰기가 놓여 있음을 볼 수 있었다. 둘째로는 세 소설 모두 한·일간의 민족 과 국가의 문제를 무조건적인 대립과 단순한 이분법적인 구도로 환원하지 않고 인도주의적 관점에서 바라봄으로서 일본인 병사와 조선인 병사 사이에 ‘우리’라 는 공동체를 형성하고 있었으며, 이를 통해 세 소설에 공통적으로 내재되어 있는 휴머니즘을 읽어낼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통해 학병 당사 자의 ‘기억 행위’가 특정한 욕망이나 목적의식에 따라 변주되거나, 민족이라는 시 대적 심급에 의해 일정한 방향으로 추동되었던 기존의 집단 서사와의 균열 지점 을 포착할 수 있었다.


This study analyzes Han Un-sa’s Trilogy of Ah Ro-woon, which is based on the experience of Korean student soldiers: Lee Gahyeong’s Battle of Burma and River of Fury and Lee Byeng-ju’s Gwanbu Ferry Boat, which focus on the inner consciousness of Korean student soldiers through the writings of Korean student soldiers themselves. In pursuit of the inner consciousness revealed in the novels exploring the experience of Korean student soldiers, we made the following observations. First, the feelings of guilt over enlisting Korean student soldiers voluntarily, without proper justification, are clear from the writings of Korean student soldiers, whose stories, while fictionalized, are juxtaposed with one another at the point where they collide. Second, all three novels form a community of “us” between Japanese soldiers and Korean soldiers by taking a humanitarian perspective instead of reducing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 and Japan to one of unconditional opposition and simple dichotomy. Through this, it was possible to understand the humanism that is common to the three novels. Finally, through this process, it is possible to pinpoint the places where the group narrative runs counter to the novels, which are restructured according to the specific motivations and inner consciousness of the Korean student soldiers themselv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