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현재 우리나라에서 선거 연령은 만 19세 이상이다. 그런데 선거 연령을 이보다 더 낮추어야 한다는 주장이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이 논문은 지금까지 국내외에서 전개된 선거 연령의 하향에 관한 논의와 시민교육의 일부로서 선거교육에 관한 연구 문헌을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앞으로 선거 연령의 하향에 대비하여 중등학교에서 사회과의 시민교육이 나아갈 바람직한 방향을 모색하고자 한다. 선거 연령의 하향에 대비한 시민교육의 사명은 청소년들에게 선거권 행사에 필요한 독자적인 정치적 판단력을 길러 주는 것이다. 따라서 현재 중등학교에서 실시되고 있는 선거에 관한 지식을 전달하는 데 치중하는 선거교육은 정치적·사회적 쟁점들에 관한 토론을 중시하는 선거교육으로 상당 부분 전환되어야 한다. 왜냐하면 책임감 있는 선거권 행사에 필요한 독자적인 정치적 판단력은 사회적으로 논란이 많은 정치적·사회적 쟁점들에 관한 탐구와 토론을 통해서 길러지기 때문이다. 우리가 앞으로 선거 연령을 지금보다 낮추기 위해서는 고등학교 현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대책과 더불어, 이와 같이 청소년들에게 선거권 행사에 필요한 독자적인 정치적 판단력을 길러 주기 위한 시민교육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Recently, there has been a lot of controversy over the issue of lowering the voting age. Based on previous studies, this paper addresses new directions of citizenship education in secondary school social studies in preparation for lowering the voting age. In this paper, four main issues surrounding lowering the voting age are discussed. The mission of citizenship education in secondary school social studies and reasons why the voting age should be lowered are also presented. By criticizing the current dominant knowledge-oriented citizenship education for voting in elections, voter education is proposed based on discussion of controversial political and social issues. This paper concludes by suggesting that, to foster students’ independent political judgement required for voting in elections, teaching strategies for effective discussion of political and social issues should be developed. The large part of national social studies curriculum should also be reformed into issues-centered curriculum focusing on controversial political and social issu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