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本稿では、日本語と韓国語の談話マーカーの一つである「相づち」の分析を通して、日韓両言語の相づちの機能を明らかにした。具体的には、日本語と韓国語の母語話者同士及び異文化接触場面で収集したデータを用いて両言語の相づちの機能の類似点と相違点を調査した。その結果は以下のとおりである。 まず、機能については、日韓のいずれにおいても「聞いている」が最も高く、次いで「理解している」「同意表現」「否定表現」の順に現れ、「感情表出」は極めて低いことが分かった。 相づちの機能の頻度に関する主な特徴は、同一文化内の母語話者同士の談話においては、韓国語母語話者と比較して日本語母語話者が高い。これは日本語の談話の特徴の1つであると思われる。次に、異文化接触場面においては、日本語母語話者による日本語の発話で頻度の増加が観察された。また、韓国語母語話者による日本語の発話では、頻度が増加する傾向が見られた。このことは、日本語の談話スタイルが影響を及ぼしたと考えられる。


In this paper, I would like to analyze and clarify the function of back-channel in Japanese and Korean languages. Back-channel is one of the discourse markers of both Japanese and Korean languages. Specifically, I investigat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Japanese and Korean back-channel functions using data gathered from Japanese and Korean native speakers, and from an intercultural contact situati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listening" is the topmost function of back-channel between Japanese and Korean native speakers, and considering the intercultural contact situation of both Japanese and Korean speakers,, followed by "understanding," "expression of consent," and "negative expression," in that order. "Expressing emotion" is the lowest function. The most notable attribute regarding the frequency of back-channel is that Japanese speakers use it more frequently in native speakers’ discourse in the same culture, as compared to Korean speakers. This seems to be one of the features of Japanese discourse. Second, in the intercultural contact situation, an increase in frequency is observed in Japanese utterances by Japanese native speakers. Additionally, the frequency of Japanese utterances by Korean native speakers tended to increase. This is considered to have influenced the discourse style of Japanese speakers.


본고에서는 일본어와 한국어의 담화 마커의 하나인 "맞장구"의 분석을 통해서 한일 양언어의 맞장구의 기능을 밝히고자 한다. 구체적으로는 일본어와 한국어의 모어화자 간 및 이문화간 접촉 상황에서 수집한 데이터를 사용하여 두 언어의 맞장구 기능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조사했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맞장구 기능의 빈도에서는 한일 모두 "듣고 있다"가 가장 높았고"그 다음으로 "이해하고 있다" "동의 표현" "부정 표현"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감정 표출"는 거의 출현하지 않았다. 맞장구의 기능의 빈도에 관한 주요 특징은 동일 문화 내의 모어화자 간 담화에서는 한국어 모어화자에 비해서 일본어 모어 화자가 높았다. 이러한 현상은 일본어의 담화의 특징의 하나라고 생각할 수 있다. 다음으로 이문화간 접촉 장면에서 일본어모어화자에 의한 일본어 발화에서 빈도의 증가가 관찰되었다. 또 한국어 모어화자에 의한 일본어의 발화에서도 빈도가 증가하려는 경향을 보였다. 이 것은 일본어의 담화 스타일이 발화에 영향을 미쳤다고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