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논문은 고바야시 마사루의 소설이 전후 일본문학사에서 어떤 특징을 지니는지, 그리고 고바야시 마사루의 문학이 일본 전후기억의 어떤 문제를 드러내는지를 고찰했다. 고바야시 마사루는 지금까지 거의 알려지지 않은 작가이다. 그런데 본 논문은 재조일본인 식민자2세인 동시에 쇼와 시대의 제1세대이기도 한 고바야시 마사루의 작가론적 요소가 일본의 전후문학에 매우 특징적인 문학세계를 남겼다는 점, 그리고 그의 문학세계가 망각되거나 배제-봉인되어 온 일본의 전후기억의 이면을 재점검하고자 할 때 중요한 실마리를 제공한다는 점을 밝혔다. 예를 들어 고바야시 마사루가 쓴 최초의 소설 「어느 조선인 이야기」는 한국전쟁기 조선인 강제송환 문제를 다룬 문제작이고, 1958년에 발표한 장편소설 『단층지대』는 1952년이라는 해가 전후 일본의 역사에서 중요한 단층지대였음을 현재에 전해준다. 그리고 1958년에 발표한 또 다른 소설 「붉은 벽의 저편」은 쇼와시대 제1세대의 패전체험이 1950년대 후반의 일본 20대 청년의 기록적인 자살로 이어진 정황을 전해준다. 이러한 문제들을 다른 고바야시 마사루 문학은 일본의 전후기억의 문제점을 되묻는 귀중한 기록인 것이다.


This paper examined what features of Kobayashi Masaru's novels in the history of postwar Japanese literature and what problems such Kobayashi Masaru's literature highlights in Japan's postwar memories.Masaru Kobayashi is a writer who has been largely buried in Japan, but in this article, the authoritative elements of the first generation of Japanese settlers living in Korea have left behind a very characteristic literary world in the postwar Japanese literature.For example, the first novel "A Certain Korean Story" written by Kobayashi Masaru reveals the problem of forced repatriation during the Korean War, and the 1958 novel "Fault Zone" shows that 1952 was an important fault area in postwar Japan.He then revealed how the Showa period's first-generation defeat in another novel, "The Far Side of the Red Wall," in 1958 was linked to the record suicide of Japan's twenties in the late 1950s.This kind of literature written by Masaru Kobayashi is a valuable record of Japan's postwar memories.


本稿は、小林勝の小説が戦後日本文学史においてどのような特徴を持つのか、そして、そのような小林勝の文学が日本の戦後記憶のどのような問題を浮彫りにしているのかを考察した。小林勝はこれまでほとんど埋もれてきた作家である。ところが、本稿では、在朝日本人の植民者2世でありながら昭和時代の第1世代にあたる作家論的要素が日本の戦後文学に非常に特徴的な文学世界を残したこと、そしてそれは戦後日本が忘却、もしくは排除-封印してきた戦後記憶の裏面を再点検する際に重要な手がかりを提供しているということを明らかにした。たとえば、小林勝の書いた最初の小説「ある朝鮮人の話」は韓国戦争中の強制送還の問題を、また1958年の長編小説『断層地帯』は1952年が戦後日本において重要な断層地帯であったことを現在に伝えていることを明らかにした。そして、1958年のもう一つの小説「赤い壁の彼方」にある昭和時代の第一世代の敗戦体験が、1950年代後半の日本の二十代の記録的な自殺とどのようにつながっているのかを明らかにした。このような小林勝の文学は、日本の戦後記憶の在り方を問う貴重な記録なのであ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