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시설보호아동의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학교급별 특성과 시설퇴소라는 상황적 특성을 고려하여 초, 중, 고 집단 간에 행복요인의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으로 참여한 시설보호아동은 총 141개 아동양육시설의 초등학교 5학년, 중학교 1학년, 고등학교 1학년에서 총 600명이었다. 분석방법으로는 구조방정식 모형을 활용하여 집단 간 비교(test of the structural model invariance across the groups)를 사용하였다. 그 결과 직접적인 영향에 있어서는 시설 내 가족경험 및 인식이 아동의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은 초등학교 5학년 집단에는 유의하지 않았고, 중학교 1학년, 고등학교 1학년 집단에서는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 경험 및 인식에 대해서는 세 집단 모두에서 학교에 대한 경험과 인식이 긍정적일수록 아동의 주관적 행복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동네 경험 및 인식에서는 초등학교 5학년 집단에서만 아동의 주관적 행복감에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동의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간접적인 경로까지 포함하여 살펴볼 때, 전체적으로 아동의 연령이 높아질수록 학교 경험 및 인식이 아동행복에 미치는 영향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아동의 연령이 어릴수록 동네경험 및 인식의 영향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개별아동의 원가족과의 만족도는 중학교 1학년 집단에서만 아동의 주관적 행복감에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 개의 연령집단을 비교하였을 때, 다른 두 집단에 비해 초등학교 5학년 집단에서 아동의 동네경험 및 인식이 주관적 행복감에 보다 강력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시설에서 아동의 행복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아동의 연령별 혹은 학교급별 특성을 고려하여 차별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필요가 있음을 보여준다.


The study examined the factors associated with the subjective well-being of children in residential care across different age-groups. For this study, 600 children were recruited from 141 residential facilities, 200 students each from grades 5, 7, and 10.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test of the structural model invariance across the groups. Results were as follows; There was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e children’s experience and cognition related to housemates in residential care and their subjective well-being in the 7, and 10 grade gr oups, but not in the 5 grade group. In tems of the children’s experience and cognition related to school, a significant relationship was found in all three groups. As for the children’s experience and cognition related to community a significant relationship was found in the 5 grade group only. Overall, the loder the children were, the more important their experience and cognition related to school were as the factor associated with their subjective well-being. In contrast, the younger the childrren were, the more important their experience and cognition related to community wer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ildren’s satisfaction with their biological family and their subjective well-being was significant only in the 7 grade group. When compared with the other two groups, the magnitude of th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e children’s experience and cognition related community and their subjective well-being was much greater in the 5 grade group. The result showed that a child’s age should be considered in order to improve the subjective well-being of childrren in residential c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