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오늘날 국제이주는 그 어느 때보다 더 광범하게 곳곳에서 발생하고 있으며 경제적으로나 정치적으로 그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이주는 21세기 메가트렌드로 지구상의 사람 7명중 1명이 이주자이다. 정부에서 발표한 통계에 따르면 한국인도 2016년 현재 전체 인구의 1/7에 해당하는 수가 디아스포라로 해외에 거주하고 있다. 이와 같은 이주의 시대에 학계에서는 한인디아스포라를 주제로 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1980년대 이후부터 선교학 영역에서도 한인디아스포라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기 시작했다. 본 연구는 선교학 영역에서 한인디아스포라를 주제로 한 국내 학위논문을 대상으로 통계학적 측면에서 연구동향을 분석하고, 이를 근거로 향후 연구 방향성을 제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시행되었다. 선교학 영역에서 한인디아스포라를 주제로 한 연구는 1982년 처음 시작되었다. 그 후 지속적인 연구가 진행되어 2018년까지 현재까지 81건의 학위논문이 제출되었다. 학위논문 주제별 연구동향을 석해 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00년대 들어 선교학 영역에서 한인디아스포라 관련 학위논문이 급격하게 증가하였다. 1982년부터 1999년까지는 매년 1.1편의 학위논문이 발표되었는데, 2000년대에는 연평균 3.6편으로 증가하였다. 둘째, 연구 대상지역의 쏠림 현상이 심하게 나타났다. 전체 학위논문 가운데 중국에 거주하는 한인디아스포라를 대상으로 연구한 학위논문이 26개로 해당 기간에 발표된 전체 학위논문의 32%의 비중을 차지한다. 이어서 미국 12개(15%), CIS 지역 8개(약 10%) 순이다. 상당수(57%)가 중국, 미국, CIS지역 한인디아스포라에 대한 연구에 집중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연구 주제는 선교 대상으로서의 한인디아스포라 연구, 선교 자원으로서의 한인디아스포라 연구, 한인디아스포라를 통한 선교, 한인디아스포라(한인교회, 역사) 연구 등이 있다. 선행연구 통계분석을 통해 발견한 선교신학 분야 한인디아스포라 연구의 바람직한 방향성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한인 디아스포라 연구가 모국중심의 연구가 아니라 한인디아스포라와 모국 양쪽을 존중하는 균형 있는 연구가 되어야한다. 둘째 한인 디아스포라 연구가 학문적인 성과와 더불어 한인 디아스포라로부터 지지와 협력을 얻어야 한다. 셋째 지역별 연구 편중 현상을 극복해야 한다. 넷째 한인 디아스포라에 대한 다양한 연구방법 적용이 필요하고 연구 결과물, 연구자현황, 연구동향, 한인 디아스포라 사회의 제반 특징을 담고 있는 백과사전, 백서 발간과 아카이브 구축이 이루어져야 한다. 다섯째 한인 디아스포라에 대한 정치, 문화, 사회를 제외한 경제와 기타 분야의 연구가 필요하다. 연구자는 본 연구 결과를 근거로 아세안 지역에 거주하는 한인디아스포라에 대한 통합연구를 제안한다. 적절한 통합연구가 수행된다면 아세안 지역의 선교 전략적 중요성, 선교학 영역과 인문사회과학 영역의 학제 간 대화 가능성 확보, 디아스포라 선교전략 수립을 위한 데이터베이스 구축 및 한인디아스포라 선교네트워크 구성 등을 기대할 수 있게 될 것이다.


Today, international migration is ever more widespread and is occurring in every corner of the world. Its importance is increasing both economically and politically. Migration is a megatrend of the 21st century, and one out of every seven people on earth is a migrant. According to the statistics released by the government, as of 2016, one-seventh of the total population of Koreans live abroad as diaspora. In this era of migration, studies in the field of Korean Diaspora are actively being carried out in the academic world. Since the 1980s, research on the Korean Diaspora has been carried out in the field of missiolog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search trends within the field of missiology by analyzing the statistical aspects of domestic theses on the theme of Korean Diaspora and based on this analysis to present the direction of future research. In missiology, study with a subject on Korean Diaspora began in 1982. Since then, ongoing research has been conducted, and 81 theses have been submitted up to 2018.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research trends by thesis subject are as follows: First, in the field of missiology entering the 2000s, the number of dissertations related to Korean diaspora increased sharply. Between 1982 and 1999, an average of 1.1 dissertations was published annually, increasing to an annual average of 3.6 in the 2000s. Second, there is a strong tendency of research in concentrated regional areas. Of the total theses, 26 dissertations focused on the Korean Diaspora residing in China, accounting for 32% of the total theses published during that period followed by 12 US (15%) and 8 CIS regions (about 10%). A significant number (57%) are concentrated in the study of the Korean Diaspora in China, the United States, and the CIS. Third, the research topics include research on Korean Diaspora as missions target, research on Korean Diaspora as missions resource, missions through Korean Diaspora and research on Korean Diaspora (Korean church, history). The desirable direction of Korean Diaspora research in the field of missiology discovered through statistical analysis of previous research is as follows: First, Korean Diaspora study should be a balanced research that respects both the Korean Diaspora and the mother country rather than centered on mother country alone. Second, along with academic achievement, Korean Diaspora study should garner support and cooperation from the Korean Diaspora. Third, we must overcome the biases of regional research. Fourth, it is necessary to apply diverse research methods to Korean Diaspora and publish an encyclopedia and white paper containing research result, researcher demographic, research trend, characteristics of Korean diaspora society and construct an archival structure as well. Fifth, there is a need for research on economics and other fields on top of politics, culture and society of Korean Diaspora.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is paper proposes an integrated study on the Korean Diaspora living in the ASEAN region. If appropriate integrated research is carried out, it will be possible to expect the strategic importance of missions in ASEAN region, securing interdisciplinary dialogue between missiology and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building a database for establishing diaspora missions strategy and forming a Korean Diaspora missions netwo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