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고는 1930년대 김유정 소설이 지닌 ‘연민의 서사’에 대해 ‘들병이, 연정, 물욕, 궁핍’ 등의 제재로 세분화하여 마사 누스바움의 ‘감정론’을 활용하여 구체적으로 분석하였다. ‘연민’을 핵심 키워드로 활용하는 누스바움의 ‘감정론’은 1930년대 김유정 소설 속에서 아이러니적 서사와 열린 결말을 통해 동시대적 감성의 비애적 구조를 분석하기 위한 유용한 방법론에 해당한다. 특히 작품의 마지막 부분들에서 확인되는 아이러니적 상황과 열린 결말은 작가의 3인칭 관찰자적 시선과 함께 수용미학적 차원에서 독자에게 연민의 정서를 불러일으킨다는 점에서 주목을 요한다. 본고에서 규명한 ‘연민의 서사’는 김유정 문학의 본령에 해당하는 ‘비극성’의 핵심으로서 아이러니적 서사와 열린 결말에서 인지되는 감정론의 귀결이다. 작가가 작중인물들이 궁핍한 현실을 감내해내는 실존의 현장을 형상화하여 ‘연민의 서사’가 제공하는 현실적 비애미를 극대화하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작가는 식민지 현실의 암울함 속에 놓인 결핍된 주체들의 움직임을 통해 당대 현실과 조응하며 비극적 진정성을 산출하고 있다. 타자의 고통과 불행을 외면하는 것이 아니라 인간의 보편적 감정을 공유하고 함께하려는 것이 ‘연민의 서사’에 해당한다. 그리고 그러한 서사적 감수성을 1930년대 식민지 시대의 궁핍이라는 질곡을 통해 안타까이 비극적으로 형상화한 작가가 바로 김유정임을 확인할 수 있다.


This paper analyzes the 'narrative of compassion' in the 'tragedy' of Kim Yoo-jeong novel in the 1930s. I analyzed the major materials, such as '‘Dulbyungie(a peddler of bottled wine)’, affection, earthly desires, poverty', using Martha C. Nussbaum's 'emotion theory'. Nossbaum uses 'compassion' as a key word. In the 1930s, Kim Yoo-jeong's novels reveal ironic narratives and open endings. This is a useful method for analyzing the sadistic structure of contemporary sensibility. The ironic situation and the open ending at the end of the work evoke compassionate emotions to the readers on a receptive aesthetic level. 'The narrative of compassion' is the core of 'tragedy', the essence of Kim Yoo Jeong's literature. It is the result of an ironic narrative and an emotional theory revealed by an open ending. The artist portrays the scene of the existence in which the characters endure the poor reality. 'The narrative of compassion' internalizes the real sorrow of characters. Especially the subjects are in the maximization of the tragic reality. The poor protagonists correspond to the present reality and produce tragic sincerity. It is necessary to share the universal feelings of human beings, not to ignore the suffering and unhappiness of others. It is a narrative of compassion. And the artist portrays such a narrative sensitivity as a deprivation of the colonial period of the 1930s. Kim Yoo-jeong is a writer who tragically shapes the reality of colonialism through 'narrative of compas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