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글은 유교 헌정주의가 성립하기 위해서는 ‘치통의 담지자인 군주’를 규율하기 위한 헌정 주체로서 ‘도통을 담지한 사대부’의 존재가 핵심적이라고 주장한다. 유교를 국가 이념으로 건국한 조선은 건국 초기부터 유교 이론과 제도를 통해 정치권력을 어떻게 정당화하고, 어떻게 제약할 것인지를고민했는 바, 이는 유교 헌정주의의 다양한 제도로 그 모습을 드러냈다. 그러나 이 제도들이 본격적으로 군주를 규율하는 헌정주의적 기능을 수행하게 된 것은 16세기에 이르러서다. 이 글은 이러한변화의 최종적 조건을 도통론을 수용하고 주장하는 사대부의 등장에서 찾는다. 도통론이란 남송(南 宋)의 주자(朱子)가 체계적으로 정립한 이론으로서, 현실의 권력자[治統]는 고대 성왕으로부터 공자ㆍ맹자를 거쳐 도학(道學)을 전수받은 유학자들[道統]과 함께 통치할 때, 그 통치가 비로소 정당하다는 이론이다. 조선의 사대부들은 세대를 거듭하면서 성리학을 더욱 심도 있게 이해하며 수용했고, 16세기에 이르면 이들은 도통론을 바탕으로 군주에 대한 자신들의 학문적ㆍ규범적 우위를 주장하기시작했는데, 이로 인한 군주와 사대부의 갈등은 문묘배향 논쟁을 통해 전개된다. 기존의 유교 헌정주의 연구가 그 완성된 형태를 정태적으로 분석해왔다면, 이 글은 유교 헌정주의가 정치공동체에서정착하는 과정을 동태적으로 추적한다.


This paper argues that the existence of the Confucian literati holding daotong (道統, Transmission of the Way) to discipline the monarch is essential for the formation of Confucian constitutionalism. The Joseon Dynasty, which was founded on Confucianism as state doctrine, had been preoccupied from the beginning with the task of how to legitimate and, at the same time, constrain the political power of the monarch through Confucian theory and institutions. The task was first initiated by the institutionalization of a Confucian ruling system. However, it was not until the sixteenth century that Confucian institutions and practices actually performed a constitutional function to constrain the monarch. This paper attributes the final cause of this change to the advent of literati who adopted the theory of daotong. Zhu Xi had developed the theory, which demanded that the monarch collaborate with the Confucian literati who inherited daotong from the ancient sage kings, Confucius and Mencius. Otherwise the monarch’s rule would lack legitimacy. As time passed, the literati of the Joseon Dynasty embraced and understood neo-Confucianism more deeply. In the sixteenth century they began to argue that they had a scholarly and normative superiority over the monarch. Then controversies among the monarchs and literati unfolded over ‘who should be enshrined in the shrine of Confucius. Existing studies have neglected to consider the importance of the theory of daotong and the status of the shrine of Confucius in Confucian constitutionalism. This paper fills such theoretical lacuna by stressing these two poi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