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는 언어 예절에 대한 언어 정책적 개입의 의미와 한계를 비판적으로평가하고 향후 개선 또는 발전의 방향을 모색하는 몇 가지 정책 제언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고는 먼저 언어 예절의 개념과 형식, 그리고 특성에 대한 고찰을 바탕으로 언어 예절과 언어 정책의 관련성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언어 예절은 특정 사회나 집단 내에서 존경이나 공손함을 표현하기위한 언어적 행위의 절차나 질서라고 정의할 수 있었고, 어휘, 형태, 문체, 억양, 발음, 담화 등의 다양한 층위에서 여러 형식 또는 방식을 통해 실현되며, 근대국민국가의 언어 정책의 대상이 될 가능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본고는 일본과 한국의 사례를 중심으로 언어 예절에 대한 언어 정책적 개입의역사를 검토하고, 한국에서의 언어 정책적 개입의 네 가지 문제, 즉 개입의 필요성, 기본 방향, 대상, 방식 등을 쟁점화하여 그 의미와 한계를 평가하였다. 이를통해 개입의 필요성으로 제시된 국민의 혼란과 어려움이 실제로는 분명한 근거가 되지 못하였으며, 개입의 기본 방향이 충분히 논의되거나 제시되지 않았음을 지적하였다. 또한 개입의 대상 선정도 그 기준과 근거가 불명확하며, 국가주도의 개입 방식에 대해서도 부적절한 측면이 있음을 비판하였다. 마지막으로본고는 다음과 같은 네 가지 정책 제언을 제시하였는데, (1) 언어 정책적 개입의필요성에 대한 재검토, (2) 충분한 논의와 공감대 형성을 통한 기본 방향의 명시, (3) 기존 개입 대상의 축소 정리와 새로운 대상 모색, (4) 개입의 방식에서의제도성과 규범적 위상 약화 등이 그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uggest some policy proposal for the improvement direction of language policy intervention for language manners by reviewing critically its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In order to accomplish this purpose, this paper firstly examines the relation between language manners and language policy on the basis of consideration on the concept, forms, and characteristic of language manners. In result, language manners are defined as linguistic procedure or order to show one’s respect or politeness in certain society or group, and identified not only as being realized by many forms or ways on various levels such as vocabulary, form, style, intonation, pronunciation, discourse, etc., but also as being an object of language policy of modern nation-state. Then, this paper estimates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four issues such as necessity, basic direction, object, and way of the language policy intervention for language manners by looking over its history focussing on the cases of Japan and Korea. Finally, four policy proposals suggested in this paper are as follows: (1) reconsideration of language policy intervention for language manners, (2) clear statement of basic direction through sufficient discussions and consensus-making, (3) reduction of existent objects of intervention and finding of new objects, (4) weakening of institutionality and normative status in respect of way of interven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