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고는 서술절 설정을 옹호하는 논의들에 대해 왜 서술절이 개념적 오류인가를 다시 한 번 밝히고자 하였다. 그 출발점으로서 조사 ‘이/가’는 주격조사나주어 표지가 아니라 정보구조의 흐름을 민감하게 조정하는 기능을 지닌 한정사임을 입증하였다. 그래서 조사 ‘이/가’로 실현된 성분과 서술어의 결합을 서술절이 아닌 서술구로 분석해야 하는 사례가 많다는 점을 소유동사 ‘있다2’와 주관동사 ‘무섭다2’를 통해 밝혔다. 구체적으로 ‘코끼리는 코가 길다’, ‘나는 눈이 나쁘다’, ‘나는 책이 있다’, ‘할아버지는 시간이 없으시다’, ‘나는 호랑이가 무섭다’, ‘나는 그 여자가 마음에 든다’ 등의 예를 통해 한국어의 목적어는 ‘가형 목적어’ 와 ‘를형 목적어’로 쪼개져 있다는 점을 밝혔다. 종국적으로 세계 유형론 학계에‘쪼개진 목적어 유형’의 언어로서 한국어의 실상을 보고하고자 한다.


This paper is Mok (2014a)’s revisited version. We claim once again that particles and endings in Korean should be independent syntactic units from a typological perspective, and that the particle ‘i/ga’ is not a nominative case marker or subject marker. It is just a kind of determiner which adjusts the text flow in terms of information sturcture. One of the problems derived from the conceptual entanglement related with the particle ‘i/ga’ is so-called ‘predicate clause/clausal predicate’. First, we approached the main objective of this paper through clarifying the origin of the misconception of ‘predicate clause/clausal predicate’. Second, we succeeded in analyzing the underlined constituents and the constituents in italic type as true subjects and true objects, respectively, in the following examples; ‘코끼리는 코가 길다’, ‘나는 눈이나쁘다’, ‘나는 책이 있다’, ‘할아버지는 시간이 없으시다’, ‘나는 호랑이가 무섭다’, ‘나는 그 여자가 마음에 든다’, etc.. Finally, we proposed that Korean should be classified as a ‘split-O’ typed language, which is a subtype of nominative-accusative patter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