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의 긍정적, 부정적 양육태도가 자존감에 미치는 관계에서 또래 애착의 조절효과를 탐색하고, 이어 중학교와 고등학교 시기의 조절효과가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알 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해 한국 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제공하는 아동·청소년패널조사(KCYPS)의 초등학교 4학년 패널 2,378명의 4차년도(2013년)와 7차년도(2016년) 자료를 추출하여 다중회귀모형 과 조건부 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중학교와 고등학교 시기 긍정적 양육태도와 또래애착 은 자존감을 정적으로 예측하였던 반면 부정적 양육태도는 자존감을 부적으로 예측하여, 지각된 부모 의 양육태도가 긍정적일수록, 또래애착이 높을수록 청소년들의 자존감이 높게 형성되는 것을 알 수 있 었다. 둘째, 긍정적, 부정적 양육태도와 또래애착의 상호작용 항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나, 양육 태도와 자존감의 관계를 또래애착이 조절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구체적으로 또래애착이 높을수록 긍정적 양육태도가 자존감에 미치는 영향은 작아지고, 부정적 양육태도가 자존감에 미치는 영향은 커 졌다. 조건부 효과를 분석한 결과 긍정적 양육태도와의 관계에서 또래애착의 값이 평균, 평균 이상, 평 균 이하에서 모두 조절효과가 유의하였지만, 부정적 양육태도와의 관계에서는 그 값이 중학교의 경우 평균 이상, 고등학교의 경우 평균과 평균 이상에서만 유의하게 나타났다. 셋째, 또래애착의 조절효과 를 양육태도 별, 시기 별로 비교한 결과 부정적 양육태도보다는 긍정적 양육태도에서, 고등학교보다는 중학교 시기에서 더 크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부모의 긍정적 양육태도와 또래애착의 역할을 재확인하였고 이들이 자존감에 미치는 효과가 발달 시기별 차이가 있음을 밝혀 연령에 따라 또래애착 을 활용한 자존감 증진 프로그램이 차별화될 필요성이 있음을 보여주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moderating effects of perceived peer attachmen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rearing attitude (positive vs. negative) and self-esteem among adolescents. In addition, we investigated how moderating effects would be different according to school-level (middle vs. high school). A total of 2,378 (1,246 boys and 1,132 girls) students’ data extracted from the Korea Children's and Youth Panel Survey (KCYPS) were used.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with testing of conditional effects were employed using SPSS 22.0. Results showed that first, positive parenting attitude positively predicted self-esteem while negative parenting attitude negatively predicted the outcome. Peer attachment also positively predicted self-esteem. Second, peer attachment was found to mode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attitude and self-esteem. Specifically, as peer attachment was high, the effect of positive parenting attitude on self-esteem was low while the effect of negative parenting attitude was high. Results of conditional effect testing demonstrated that for positive parenting attitude, moderation of peer attachment was significant at the value of mean, mean+1SD, and mean-1SD; for negative parenting attitude, however, moderation was significant at the value of mean+1SD (middle school) or mean and mean+1SD (high school). Third, the moderation effect of peer attachment was greater when a student was in middle school than he or she was in high school and the effect was greater for positive parenting attitude than negative one. This study identified the positive effect of peer attachment and it is necessary for teachers and educators to provide differential programs and interventions to facilitate adolescents’ self-esteem considering their developmental st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