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의 목적은 세계시민성을 함양하기 위한 프로젝트 수업을 구안, 실행하고 그 효과를 검증해보는 것이다. 2015 개정 중학교 사회과 교육과정을 재구성하여 ‘세계시민되기’ 프로젝트 수업을 구안하고, 실제 수도권 내 M 중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수업을 실행한 후 세계시민성 함양 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2015 개정 중학교 사회과 교육과정 재구성을 통해 ‘세계시민되기’ 프로젝트 수업의 주제로 ⅰ)문화의 다양성과 지역화/세계화, ⅱ)환경문제와 지속가능한 환경, ⅲ)국제 사회와 현대사회문제의 3가지를 추출하였으며, 각 주제에 맞는 실천 활동을 실행한 후 사전-사후 세계시민성의 차이를 통계적으로 검증한 결과, ‘세계시민되기’ 프로젝트 수업은 학생들의 세계시민성 함양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수업에서 이루어진 참여와 실천의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행한 결과, 참여와 실천 정도를 평가한 프로젝트 수업의 성취도가 세계시민성 함양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론은 세계시민교육의 학교 정착을 위한 몇 가지 시사점을 갖는다. 우선, 교육과정에서 세계시민성에 대한 강조는 점차 확대되고 있지만, 이를 학교 현장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직접적인 내용 요소를 찾기보다 융합 주제에 맞게 교육과정을 재구성하는 것이 더 적절할 수 있다. 둘째, 세계시민성 함양 효과를 위해서는 세계시민교육이 인지적, 정서적 영역에 그치지 않고 실천적, 행동적 영역을 포함하는 것이 더 균형적인 효과를 가져 올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참여와 실천이 핵심 요소가 될 수 있는 프로젝트 수업과 같은 교수-학습 방법상의 전략이 필요하다. ‘생각은 글로벌하게, 실천은 지역적으로’라는 슬로건과 같이 사회현상과 문제를 바라볼 때에는 지구촌으로 공간을 확장하여 바라보고, 참여와 실천은 아무리 작아도 삶과 연관된 내 주변에서부터 시작할 수 있도록 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ign and implement project based learning(PBL) in order to improve global citizenship and to verify its effects. I reconstructed the 2015 revised middle school social studies curriculum to design a PBL to 'Become a Global Citizen'(BGC) and conducted it to M middle school student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theme of the curriculum was to reconstruct the 'BGC' PBL, which extracted 3 categories of ⅰ)cultural diversity & localization/globalization, ⅱ)environmental problem & sustainable environment and ⅲ)global society & the problems in modern society. After conducting practical activities, it was found that the PBL was effective in improve students' global citizenship. Additionally, the achievement of evaluating participation and practice was affected. For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reconstruct the curriculum. Also practical and behavioral area, not just cognitive and emotional areas should be considered. To do this, teaching-learning strategies such as PBL accompanied by participation and practice is need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