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논문의 목적은 다문화사회가 안고 있는 다양한 갈등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마틴 부버와 레비나스의 타자윤리를 살펴보는 것이다. 먼저 다문화사회가 안고 있는 갈등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우리 사회의 다문화교육을 비판적으로 살펴보려고 한다. 한국사회에서는 이제까지 해외이주자를 중심으로 다문화교육을 진행해왔지만 앞으로는 국내거주자들에게도 다문화교육을 실시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고자 한다. 다문화 사회가 지향해야 할 가치가 낯선 타자와의 공존과 소통이라면, 철학은 그러한 공존과 소통을 가능하게 하는 조건을 찾아서 밝혀야 한다. 다시 말해 다문화 사회를 살아가는 주체인 인간 자체에서 공존과 소통의 가능성을 발견해야 한다. 그리고 낯선 이방인과의 공존과 소통이라는 다문화 사회의 과제가 갖고 있는 토대적이고 철학적인 특성을 고려할 때, 인간을 ‘타자성’이라는 근원에서 이해하고 그것으로부터 소통의 패러다임을 찾아보려는 시도의 하나로서 레비나스를 살펴보고자 한다. 마틴 부버(Martin Buber)는 <나와 너>에서 인간이 자기 자신 이외의 것에 관심을 가질 수 있는 두 가지 기본적 태도를 ‘나-너’(I-Thou)와 ‘나와 그것’(I-It)으로 불렀다. 각자는 타인을 ‘너’로서 혹은 ‘그것’으로 볼 수 있다. 나-너는 인격적-대화적 관계이며, 나-그것은 비인격적-비대화적 관계이다. 부버에 의하면 현대인은 ‘나와 너’의 대화적 관계가 아닌 ‘나와 그것’의 비대화적 관계에 매몰되어 대화적 관계를 상실한 시대에 살고 있다. 우리도 다문화인들의 인권을 존중하고 차별하지 않아야 공존과 상생의 길을 열어갈 수 있을 것이다. 레비나스는 타자의 얼굴을 강조한다. 우리는 자신의 세계에서 삶을 즐겁게 향유할 때 아무 예고없이 타인이 헐벗은 얼굴을 불쑥 내밀며 자신의 궁핍과 곤궁을 호소한다. 궁핍 속에 있는 인간은 그의 궁핍을 통해 우리에게 호소한다. 이러한 호소는 하나의 명령으로 우리에게 주어진다. 그러한 호소에 대해 나는 무관심할 수 있고, 거부할 수 있다. 하지만 이것은 불의를 자행하는 것이다. 레비나스가 말하는 얼굴은 동정을 유발하는 것이 아니라 내가 정의로워야 한다는 것을 요구한다. 인간은 서로의 얼굴들을 마주보는 것에서 본래의 인간이 될 수 있으며 궁극적인 성찰을 실현할 수 있다. 논자는 레비나스가 말하는 타자의 얼굴이 소외된 사람을 공감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통로라고 생각하며, 타자윤리가 다문화 사회의 공존과 소통의 철학적 근거가 될 수 있다고 주장한다. 논자는 다문화사회가 우리사회에 새로운 기회가 될 수 있다는 관점을 가지고 다문화교육을 진행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또한 다문화 교육은 해외 이주자들 중심의 교육과 국내거주자 중심의 교육을 병행해서 글로벌 역량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진행되어야 한다고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ethics of others in Martin Buber and Levinas as a way to solve various conflicts in a multicultural society. First, I try to critically examine the multicultural education in our society as a way to resolve the conflicts of multicultural society. In the Korean society, we have been promoting multicultural education centered on overseas migrants, but we will emphasize that multicultural education should be provided to domestic residents in the future. If the value that multicultural society should aim for is coexistence and communication with strangers, philosophy should find out conditions that enable such coexistence and communication. In other words, we need to discover the possibility of coexistence and communication in the human being, which is the subject of multicultural society. Considering the fundamental and philosophical characteristics of the multicultural society, which is the coexistence and communication with strangers, it is an attempt to understand human beings from the origin of 'otherness' and to find the paradigm of communication from them. Let's take a look. Martin Buber describes two basic attitudes that can be of interest to people other than themselves in I and You: I-Thou and I-It I called. Each can see others as 'Thou' or 'it'. I-Thou are a person-to-person relationship, and I-it is a non-personality-non-personal relationship. According to Buber, modern people are living in an era when they have been buried in the non - interactive relationship of 'I and it', and not in a conversational relationship between 'I and Thou'. We must respect the human rights of multicultural people and do not discriminate against them so that we can open the path of coexistence and coexistence. Levinas emphasizes the face of the other. When we enjoy life happily in our own world, others unfurl their naked face without any warning and appeal for their need and need. Man in need appeals to us through his need. This appeal is given to us in one command. I can be indifferent to such appeal and deny it. But this is to do injustice. The face Levinas speaks does not cause sympathy, but demands that I should be righteous. Humans can be original human beings in facing each other's faces and realize ultimate reflection. The writer argues that Levinas the face of the other is a channel for empathic understanding of the alienated people, and that other ethics can be a philosophical basis for the coexistence and communication of multicultural societies. I think it is necessary to carry out multicultural education with a view that multicultural society can be a new opportunity for our society. In addition, it is thought that multicultural education should be carried out in parallel with education centered on overseas migrants and education centered on residents in the country and strengthening global compete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