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는 세계금융위기 이후에도 증가세를 이어가다가 2014년 이후 감소세로 돌아선 한국 ICT 제조업(전자부품, 컴퓨터, 영상, 음향 및 통신장비제조업)의 고용 변동요인을 실증적으로 분석한다. 이를 위해서 사업체노동력조사  월별통계로 구축한 월별 종사자 수 및 순입직률 데이터를 자기회귀시차분포(ARDL, Autoregressive Distributed Lag) 모형을 활용하여 실증 분석한다. 실증분석을 위해 활용된 변수는 사업체노동력조사 월별통계의 임금총액에더해 수출, 설비투자, 해외투자, 국내시장 수요이다. 월별 ICT 수출은 ICT 주요품목동향조사, 월별 설비투자는 기계수주동향조사의 수요자별 기계주문 액수에서 ICT 제조업의 기계주문 액수, 월별 국내수요 변수는 제조업국내공급지수의 업종별 국내지수, 수입지수 및 수입점유비율을 활용하며 ICT 제조업의 해외투자는 수출입은행의 해외투자통계를 이용한다. 한국 ICT 제조업의 종사자 이동을 나타내는 순입직률에 있어서 수출은 단기적으로 강한 긍정적 영향을 미쳤고 기계수주가 장기적으로 긍정적이었으나, 장단기 모두에걸쳐 부정적 영향을 미친 것은 국내시장에서 수입품이 차지하는 비중이다. 한국 ICT 제조업의 고용 규모를 나타내는 종사자 수에 대해 장단기에 걸쳐수출은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반면, 국내 시장에서 수입비중은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드러났다. 하지만 한국 ICT 제조업의 해외투자나 설비투자는 국내 ICT 산업의 고용규모(종사자 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 이 연구는 금융위기 이후 한국 ICT 제조업의 고용 감소가 수출의 정체 뿐 아니라, 국내 시장에서 진행된 수입품으로의 대체, 이에 따른 국내 ICT 제조업의 위축 등에서 기인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s determinants of Korean ICT manufacturing employment that had kept increasing even after the global financial crisis in 2008 but has declined since 2014. For the empirical study, monthly establishment employment data from the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along with other official industry-level data are used, and Autoregressive Distributed Lag (ARDL) model is applied. The empirical model includes monthly data of the number of employees, net entry rate to ICT manufacturing jobs, industry-level real wage, exports, order index of machinery, foreign investment, and domestic demand index. Specifically the order index of machinery reflects the investment demand of Korean ICT manufacturing industry, while domestic supply of domestic goods, domestic supply of imported goods, and share of the imported goods in the domestic supply are considered for the domestic demand index. Main results from the analysis of net entry rate are: i) net entry rate to ICT manufacturing jobs is positively affected by exports in the short-run, ii) the net entry rate is positively affected by the machinery order in the long-run, iii) the net entry rate is negatively affected by the imported goods share in the short and long-run. Furthermore, main results from the analysis of the number of employees are: i) Korean ICT manufacturing employment is positively related with exports, ii) but negatively related with the imported ICT goods share in the domestic market. Interestingly the order of machinery and the foreign investment do not have significant impacts on Korean ICT manufacturing employment. The empirical results imply that Korean ICT manufacturing employment has decreased due to stagnant exports and substitution to imported ICT goods in Korean domestic market, which also can lead to negative effects on Korean ICT manufacturing firms in gener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