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는 문용린, 문미희, 곽윤정(2002)이 중고생을 대상으로 개발한 인권감수성 척도점수의 사용가능성에 대한 타당성을 살펴보았다. 이 척도의 개발자들은 인권감수성을 촉발하는 여러 에피소드를 사례로 들고, 각 에피소드(인권항목)마다 상황지각, 결과지각, 책임지각의 3개 분야 아래 인권감수성 문항과 인권감수성과 무관한 문항을 개발하고, 차이점수에 근거하여 상황지각, 결과지각, 책임지각의 인권감수성 하위척도를 만들었다. 그 척도의 타당도에 대한 연구가 보다 심도 있게 이루어지지 않았지만, 국내 여러 연구자들이 문용린과 동료들이 개발한 세 개의 하위척도 점수를 사용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인 중고생을 대상으로 문항내적일관성 신뢰도, 요인분석, Rasch 측정모형, 상관관계, 그리고 t-test을 사용하여 문용린과 동료들(2002)의 척도점수 사용의 타당성을 검토해 보았다. 그 결과, 인권감수성 문항만으로 구성된 척도보다 인권감수성 문항 점수와 인권감수성과 무관한 문항 간 차이점수를 이용한 척도가 덜 타당한 것으로는 볼 근거를 찾기 어려웠다. 또한 인권감수성의 특성(상황지각, 결과지각, 책임지각) 점수를 사용하는 것보다 에피소드(인권항목)를 구인으로 보는 것이 더 타당하게 나타났다. 인권감수성 각 에피소드와 성별, 학교급 변수는 독특하게 관련이 있었다. 에피소드를 이루는 문항들의 평균을 척도점수로 사용하고 행동 측면의 다문화 수용성과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두 변수는 정(+)적 상관관계로, 준거관련 타당도의 증거로 볼 수 있었다.


This study investigated a human rights sensitivity scale developed in 2002 by Moon Young-Rin et al. The instrument was constructed around four episodes that should trigger human rights sensitivity in terms of three conceptual categories: perception of a human rights situation, visualization of the probable results of a certain action, and awareness of one’s responsibility. Each episode is followed by six questions divided among the three conceptual categories. Half of the questions would be related to human-rights, the other half, unrelated. Moon et al. used difference scores, subtracting human rights-irrelevant item scores from human rights-sensitive item scores, and generated three scales corresponding to the conceptual categories. Currently many researchers have been utilizing the Moon et al. (2002)’s scale scores, though there does not exist clear supporting evidence of validity of using the three scale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validity of utilizing Moon et al.’s scale scores in a sample of junior and senior high school students in the Republic of Korea. The analysis used internal consistency reliability,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 Rasch measurement model analysis, correlation, and t-test. Results indicate that using difference scores obtained by subtracting human rights-irrelevant item scores from human rights-sensitive item scores is permissible; however, utilizing each episode as a subscale is more sound than Moon et al.(2002)’s three categories. This study found that elements of individual episode scale scores were distinctively associated with gender and school level (middle vs. high school). The correlation between the mean of each episode scale score and the behavioral aspect of multicultural receptivity was positive, an evidence of criterion-related valid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