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사회적기업의 규모화는 사회적 영향을 보다 폭넓은 지역으로 확산시킬 수 있는 대안으로 간주되고 있다. 특히, 소셜 프랜차이즈는 현 정부의 사회적경제 활성화 정책 중 하나이며 향후 다양한 정책지원이 예상된다. 본 연구는 사회적기업을 대상으로 규모화 가능성에 대한 탐색적 연구를 시도하고자 한다.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소셜 미션과 이를 달성하기 위한 비즈니스 모델을 채택하고 있는 우수한 두 개 사회적기업(반야월 연근사랑, 빅핸즈)을 대상으로 사례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방법은 정성적 사례연구로서 정량적 일반화보다 전체적이고 종합적 관점에서 심층연구를 통해 분석적 일반화를 추구하고자 한다. 분석도구는 Cooleyand Ved(2012)가 제시한 확장성 평가 도구를 활용하여, 모델의 신뢰성, 관찰가능성, 적합성, 기존 관행보다 이점, 전이 및 적응 용이성, 테스트 가능성 및 펀딩 등 7가지 기준 28개 질문 문항을 평가하였다. 분석결과, 사회적기업의 규모화는 영리조직의 규모화 매커니즘과 기술적 측면에서 큰 차이를 보이지는 않지만가장 큰 토대의 차이(특정한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영리활동)는 사회적 미션의 전이, 복제, 적응이 영리조직보다 쉽지 않을 수 있음을 확인해주었다. 두 사례 모두 비즈니스 모델의 관점에선 한정식 식당과 카페의특성상 복제가능성과 이전가능성이 구조측면에서 어렵지 않았다. 하지만 연근사랑(한정식)의 사회적 성과들과 빅핸즈(카페)의 사회적 성과들은 수년간 구성원들의 헌신과 노력의 결과로 단순히 복제와 이전될 수 없는 요소들이었다. 다만 상대적으로 연근사랑이 빅핸즈 보다 소셜 프랜차이즈의 가능성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부에서는 연구의 요약과 정책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Scaling social enterprises is referred to be a method to spread social impactinto new geographic areas. The government intends particularly to increase itsinvestment in social franchise as a way to achieve the growth of socialeconomy. This exploratory case study aims to assess scalability of socialenterprises and address possible key considerations for social franchising. Focusing on the two social enterprises that have highly recognised in thecommunity in terms of reputation, social mission, business model, this paperused Scalability Assessment Tool developed by Cooley and Ved(2012) to examinesubstantial impact on the scaling up process. The seven categories areincluding credible, observable, relevant, advantage over existing practices, easytransferability and adoptability, testable and funding. The findings of the casesstudies show that while replication on technical parts can be relatively easilytransferred into new regions, it may not be easy for the social enterprises tofind appropriate franchisees that can entirely adopt social mission, governanceand social activities. In the conclusive part, the study provides a summary andpolicy implications for practitioners s as well as policy mak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