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최근 인도사 연구는 양적으로 성장이 다소 주춤한 대신 다양한 사료를 이용하여 새로운 해석을 시도하는 등 질적으로 성장하고 있다. 이전 연구와 비교하였을 때 1차 사료의 범위가 상당히 넓어졌으며, 많은 연구가 탈식민주의 이론(Postcolonial theories)과 서벌턴 연구(Subaltern Studies) 이후 나타난 대안적 시각을 도입하고 있다. 본고에서는 2014년부터 2017년까지 4년간 출간된 국내 인도사 관련 연구를 논의한다. Ⅱ장에서는 영국의 식민통치와 근대화에 대한 연구를 영국 식민 정책 및 기관에 대한 저술과 인도인들의 저항 및 독립 운동으로 나누어 논의하였다. 몇몇 논문은 이미 널리 알려진 사건이나 소재에 대해 새로운 사료와 해석을 도입하여 인도 근대사에 새로운 시각을 제공한다. Ⅲ장에서는 식민통치와 민족주의에 대한 담론을 넘어서서 인도 근대사의 영역을 확장시키는 다양한 연구를 살펴보았다. 이 장에서는 여성과 피지배계층에 대한 연구뿐 아니라 문학과 사본학(寫本學) 등 사료가 확장됨을 논의하였다. 또한 한국-인도 교류사를 비판적으로 고찰할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마지막 에서는 현재 인도사 연구의 성과와 한계를 짚으며 앞으로 이를 더욱 활성화시키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While the growth of studies in Indian history in Korea has slowed down slightly during the past four years, it has also seen a rise of multi-layered studies based on new historical sources and perspectives. In comparison to earlier studies, the breadth of primary sources has expanded, and many studies have embraced alternative perspectives following the rise of Postcolonial theories and Subaltern Studies. This paper discusses four years’ research on Indian history in Korea, from 2014 to 2017. Chapter II examines writings on British colonial rule and the rise of modernity in India, of which several discuss well-known events or topics; with the use of new sources and perspectives, I suggest that they provide a new perspective to modern Indian history. Chapter III examines a variety of topics in India modern history, including studies on women and the subjugated classes, as well as the widening range of historical sources which now incorporate literary texts and manuscript studies. I also suggest the need for a critical examination of historical exchanges between India and Korea. The final chapter considers the achievements and limits of current historical research in Indian studies, with suggestions to enrich the fiel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