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지난 2년간 (2016~2017) 송요금원사 연구자들은 다양한 분야의 주제를 다루면서 연구의 범위를 적극적으로 확대해 나가고 있다. 기존의 전통적인 정치외교사나 사회·경제사뿐만 아니라 문화사로 포괄될 수 있는 다양한 주제를 다루고 있고 한중 관계사에 대해서도 수준 높은 논의가 진행되고 있다. 본고는 주로 송요금원사 분야 연구의 전반적인 발전에 대해서 언급하고 있지만, 마지막으로 두 가지 향후과제에 대해서 지적하는 것으로 마무리하고자 한다. 우선 지난 20세기 송요금원사 연구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주제였던 사회경제사 분야에 대한 연구와 연구자가 점차 줄어들고 있다는 점이 최근 연구경향의 분명한 특징이다. 이는 사회주의의 퇴조와 맞물려 토지경제사 분야가 쇠퇴하였던 것과 그 궤를 같이 하고 있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현상은 연구 주제의 다양성이라는 차원에서 뿐만 아니라 사회경제사에 대한 충분한 이해가 전제되지 않은 중국사 연구가 가져올 문제점을 고려해 보더라도 중요한 문제라고 사료된다. 꾸준히 사회경제사 분야의 연구를 진행하고 있는 연구자들의 노력으로 그 명맥은 유지되고 있지만 앞으로 새로운 세부 주제의 발굴을 통해 사회경제사 분야를 더욱 활성화 시킬 필요가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가장 활성화 되고 있는 한중관계사 역시 그 시야에 있어서 지적해야할 문제점들이 있다고 생각된다. 현재 송요금원사 학계에서는 고려와 송, 고려와 요, 고려와 금 그리고 고려와 원 이라고 하는 한국과 중국왕조 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는 활발하게 전개되고 있지만, 향후에는 동아시아 전체를 포괄하는 확대된 맥락 속에서 중국왕조들과 고려·가마쿠라 막부·류큐·탐라 등을 포함한 다자간 역학관계를 살펴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그럼으로써 그동안 제한된 사료 속에서 놓치고 있었던 중요한 연결고리를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


Over the last two years between 2016 and 2017, researchers in the Song-Liao-Jin-Yuan studies have greatly expanded the research scopes. They have dealt with not only the traditional research fields such as political and diplomatic history and socio-economic history but also the relatively new areas such as cultural history or history of Sino-Korean relations. This article mainly deals with the overall impression on the qualitative growth in the researches of the Song-Liao-Jin-Yuan studies. Lastly, I would like to mention two significant challenges to solve. Firstly, it is obvious that both the researchers and researches on the socio-economic history of the Song-Liao-Jin-Yuan studies have gradually declined since the early 2000s. Although it became conspicuous in the aftermath of obsolete socialism in the 1990s, it will be serious matter since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socio-economic history may become basis to carry out researches on various field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nvigorate the field through finding a new detailed topic. Secondly, researches on the history of Sino-Korean relations also need to expand the range of the researches. The researchers will understand the relations between the Korean Dynasties and the Chinese ones more clearly if they see it from the broader perspective of the history of multilateral relations among the ancient East Asian regimes, which includes Kamakura Shogunate, Ryukyu Kingdom, and Tamra(Jeju). By doing so, for instance, we will find out the right answer to the problems that we could not have understood from the narrow perspective so fa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