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조은별, 2018. ‘위기지학’에의 침잠과 조황의 <인도행>, 어문연구, 179 : 203~220 본 논문은 19세기를 유교적 가치관이 붕괴 혹은 해체되어가는 시기로 전제한 채 작품의 진의를 억압 혹은 은폐하여 해석한 경우에 대한 문제의식에서 시작되었다. 그리고 그 대표적인 예라 할 수 있는 19세기 사족 조황의 시조 작품 중 <인도행>의 의미를 재고해보고자 하였다. 하여 조선조 성리학이 조황과 같은 재지의 한미한 사족에게 ‘위기지학’으로서 역할 하였음을 확인하고, 이에 더해 <인도행> 서를 분석하여 <인도행> 해석의 기반으로 삼았다. 그 결과 조황의 <인도행>은 치인하지 못한 데에 대한 아쉬움보다는 위기지학에 좀 더 침잠할 것을 표명하는 작품으로, 조황이 <인도행>을 통해 자식에게 자신과 같은 삶을 살 것을 전하고자 하였다고 보았다.


This study started from a critical mind about premise that confucian value was collapsed or dissolved in 19th century, and aims to reveal the real intention of literary work suppressed until now. So this paper attempted to reconsider Jo Hwang's <Indohaeng>, notable example of korean poetry in 19th century. Therefore this study confirmed that Neo-Confucianism in the Joseon Dynasty performed a function as a 'Learning to become a sage' to Jo Hwang who was petty Jaejisajok in the country and analyzed epilogue of <Indohaeng>, so based on this, interpreted meaning of <Indohaeng>. And as a result, this study conformed that Sajok Jo Hwang's <Indohaeng> expressed withdrawal into 'learning to become a sage' rather than inconvenience about going into government serv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