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인간의 ‘이름 짓기’(命名) 의식은 언제나 ‘이름 부르기’(呼名)를 위해 존재했고, 명명(命名)의 의미론은 언제나 ‘사회적 인간’의 존재 의식을 전제로 한 담론이다. 인간은 언어를 통해 서로의 존재를 인식하고 소통하며, 의미 있는 존재로 나아가고자 한다. 그런데 그 언어는 끊임없이 미끄러지기 때문에, 기표와 기의가 항상 일치하지는 않는다. 이렇게 볼 때, 인간의 언어가 가지는 그 의미는, 의미의 재생산을 위해 공유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왜냐하면 언어는 어떤 생각을 표현하는 것이지만, 그 언어의 쓰임이 항상 일정한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그리고 의미의 재생산은 곧 관계의 변화로부터 만들어지는 것이다. 즉 언어에는 개념이 있지만 새끼 새의 울음소리(鷇音)에 대해서는, 인간의 언어로는 좀처럼 개념을 잡을 수 없다. 하지만 새의 울음소리와 인간의 언어와의 관계에 대한 가능성을 살펴본다면, 어느 정도까지는 기술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본고에서는 이름과 그 관계에 대한 성찰을 통해 대여(大餘) 김춘수가 추구했던 무의미시를 언어유희와 관련시켜 살펴보고자 한다. 즉 이름을 가진 일체의 사물은, 어떤 관계를 통해 드러난 이름일 뿐이다. 그렇기 때문에 어떤 관계를 맺고 있느냐에 따라 얼마든지 새로운 이름을 가질 수 있다. 사물에 대해 이름을 부여함으로써(命名) 그 사물에 대한 일반적 인식은, 그 부여된 언어로 말미암아 한정될 수 있다. 하지만 사물과 사물 사이의 새로운 관계 결합을 통해 그 이름에 대한 인식으로부터 벗어나서 새로운 인식의 토대를 마련할 수 있는 것이다. 최근 들어 우리 주변에서 일어나는 일련의 현상들은 그 이전에는 경험해보지 못할 정도의 빠른 속도로 복잡성을 더해가고 있다. 이런 복잡성은 이종(異種)의 구성요소를 가지고 있으며, 이로 인하여 현상의 이해가 개별 구성요소의 특성 파악만으로는 한계를 보이는 상황에 이르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본고에서는 개별 구성요소, 즉 객체로부터 객체 상호간의 영향을 파악하고 이를 전체로 확대하는 기존의 접근 방법과는 다르게 객체 간의 관계성을 정의하고 이들 관계로부터 객체와의 연관성과 전체에 미치는 현상을 파악하는 새로운 방법론을 제시하고자 한다. 객체에서 관계로가 아닌 관계에서 객체로, 그리고 부분에서 전체로가 아닌 전체에서 부분으로의 관점 전환을 통해 문제에 접근하는 방법론을 제시하고자 한다.


The human 'naming' consciousness has always existed for 'calling', and the semantics of naming is always a discourse based on the consciousness of 'social man'. Through language, humans recognize and communicate each other's existence, and move toward meaningful existence. However, because the language constantly slips, the sign and the phrase are not always matched. In this sense, the meaning of human language is shared for the reproduction of meaning. Because language expresses some thoughts, the language used is not always constant. And the reproduction of meaning is made from the change of relations. It has a concept in the language, but there is no concept in the cry of the cub. That is, it is hard to catch the concept about the cry of a baby bird with the human language, although there is a concept in language. However, if it looks at the possibility of a bird’s crying and the human language, it can be described to some extent. In this regard, this study examines the meaningless poems related with the linguistic play pursued by Daeyeo Kim Chun-su through a reflection on the name and its relationship. In other words, any object with a name is only a name revealed through a relationship, so it is possible to have any new name depending on what kind of relationship it has. By giving a name to an object, the general perception of the object can be defined by its given language. However, with the union of new relationships between objects, it can lay the foundations for a new awareness from the perception of the name. Recently, a series of phenomena around us have been adding complexity to the extent that we have not experienced before. This complexity has heterogeneous components, which leads to situations where the understanding of phenomena is limited only by the understanding of the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 components. Therefore, unlike the existing approach of grasping the mutual impact of objects from individual components, that is, objects and expanding them all over, this paper provides a new method for understanding the relationships among objects and the impact of phenomena all over. The study proposes a method for approaching problems through relation to object, not object to relation and whole to part, not part to whole through the perspective chan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