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세계화 시대 의사소통능력에 필요한 문화교육의 중요 성을 인식하여 대학생 대상 교양영어 교재에서 다루고 있는 문화항목의 현황 및 구성 체계를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분석 대상은 현재 대학에서 사용되고 있는 국내출판 교재와 해외출판 교재를 레벨별로 선정한 다음 문화항목 제시현황 및 구성 체계를 살펴보았다. Moran(2001)의 분석틀을 참고로 특히 문화항목이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 또한 레벨별로는 어떤 차이점이 있으며, 그러한 차이는 효율성을 담보하고 있는지 나아가 향후 교재선정 및 교재 개발을 위한 개선책은 무엇인지를 모색하였다. 연구결과 먼저 문화적인 정보의 학습은 문화적 사실, 자료, 지식 등을 학습자가 처음 경험하는 단계에서 이루어진다. 초급에서는 필요성과 목적을 알고, 중급에서는 개념과 방법을 알고, 고급에서는 상황과 특성을 아는 것으로 위계화 될 수 있다. 학습자는 이 과정을 통해 문화를 실행하게 된다. 다음으로 학습자의 언어 숙련도에 따라 문화요소를 선정하고 배열하는 것이 요구된다. 초급에서 중급단계로 갈수록 학습자의 참여도를 높이고, 문화적 정보를 이해하는 차원을 넘어 문화를 비판하고 평가하는 능력을 기르도록 하며, 고급단계로 갈수록 모문화와 비교분석하는 능력을 이용하여 목표권 문화를 이해하게 된다. 영어교육에서 목표권 문화에 대한 성찰과 올바른 이해는 모문 화에 대한 깊은 성찰과 이해에 이를 수 있는 문을 열어 줌과 동시에, 상이한 문화들에 대한 경험과 이해는 기본적으로 문화적 다양성에 대한 인식과 타 문화를 존중하는 태도에 이를 수 있는 징검다리 역할을 하는 것이 분명하다. 그러한 문화 학습 결과를 성취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는, 학습자가 인지적으로 성장하고 성숙하도록 교육적 도움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그러한 필요성을 인식하는 연구자나 교육자는 이 문화항목분석 틀을 통하여 문화교육의 이론과 실제를 매우 적절하게 조화하는 방안을 모색하리라 확신한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current status and organization of cultural items covered in English textbooks for university students through the importance of cultural education required for communication skills. The subjects of the analysis are selected for each level of the domestic and overseas published English language textbooks which are currently being used in the universities. It is sought that with reference to the framework of the analysis of Moran (2001), in particular, how cultural items are organized, and how they differ from level to level, and whether such differences promise efficiency, and what improvements are made to select textbooks and develop them in the future. From beginner to intermediate and advanced, learners will be able to participate more, to develop the ability to criticize and evaluate culture beyond understanding cultural information, and to understand target culture by using the ability to compare and analyze culture with their culture in the higher stage. In order to achieve such cultural learning outcomes, it is necessary to provide learner with educational assistance to cognitively grow and mature. It is confident that researchers and educators who recognize such a need will find a very appropriate way to reconcile the theory and practice of cultural edu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