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에서는 수출지원사업의 우리나라 중소 제조업에 대한 성과를 평가하였다. 대부분의기존 연구가 다양한 수출 마진을 평가하였다면, 본 연구에서는 수출 집중도뿐만 아니라 매출과고용, 수출기업의 비중 등 전반적인 기업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선택편의를완화하기 위해 성향점수 가중회귀 이중 차분법을 이용하여 수출지원사업의 성과를 평가하였다. 추정 결과, 수출지원사업이 전체 기업을 대상으로 수출 증가율에 양(+)의 영향을 미치고, 이러한 양(+)의 효과는 기업 규모가 종업원 수 100인 미만인 경우, 수출 규모가 100만 달러미만인 경우, 그리고 업력이 5년 미만인 기업의 경우에 보다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수출기업의 비중은 기업 규모 및 수출 규모가 클수록 그리고 업력이 높을수록 보다 유의한것으로 나타났다.


This paper evaluates the effects of export promotion on Korean manufacturing SMEs’ performance. While most studies assess only the various export margins, we additionally examine the effect of export promotion on the overall performance of firms, such as sales and employment and the share of export firms. Exploiting assumptions from the treatment effects literature, we identify a casual export-boosting effect. We find that export promotion program has a relatively positive effect on the overall export growth rate of the entire enterprise. This positive effect becomes more significant if the firm size is less than 100 employees, export volume is smaller than $1 million, and firm age is shorter than five years. However, we find that the bigger the size of the firm, the greater the export volume and the longer the firm’s age, the greater the share of export firms among the treated firm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