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미래 대화 과정에 수반되는 의미생성의 특징을 밝힌다. 이를 위해서 대학생을 대상으로 미래의 일을 주제로 한 워크숍을 실시하여 사례를 분석한다. 이 연구에서는 이전에 개발된 미래 탐색을 위한 대화모델과 국내 미래 연구 방법론의 한계를 제시하고, 대화를 텍스트의 관점에서 바라보며 기존 논의를 보완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화 과정에 수반되는 의미 구성 방식에 초점을 맞추었다. 미래 대화의 의미구성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보여준다. 미래 대화에서의 의미구성은 표상, 반추 및 재조정이라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표상 단계에서는 외재화와 재구성이 수반된다. 외재화는 시점 변화를 통한 다양성 추구, 구체성의 확보, 언어 프레임의 사용 등으로 이루어진다. 재구성은 분류, 통합적 거시구조 생성 등으로 이루어진다. 반추 및 재조정 단계에서는 대화 과정에 대한 요약, 주관적 인상 평가와 반영 대화가 포함된다. 본 연구를 통해 미래 대화가 집단적 숙고가 가능한 사회적 소통의 방식이 될 수 있도록 하고, 미래 사회의 실질적인 변화를 이끌어낼 미래 대화에 접근할 수 있는 길을 모색한다.


This paper deals with a meaning-making process of the future dialogue using a case study of a dialogue on future jobs among female college students. The limitation of future studies in Korea and earlier models of future dialogue has discussed, attempting to supplement this discussion by focusing on the features of meaning-making, particularly the macrostructure and language frame. The result is as follows. The meaning-making process in dialogues for the future consists of description and reflection. The description is performed by externalizing and reorganizing the ideas among participants. The reflection is possible by summarizing, evaluation based on subjectivity, and situated dialogue. This paper is focused on the aspects of the content of collective dialogue for futures, improving understanding of dialogue which can lead collective deliberation and future changes to make desirable futur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