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에서는 미혼 남녀를 대상으로 결혼지연과 비혼 선택의 근본적인 원인을 분석하고 대응방안을 마련하고자 하며, 이를 위해 미혼 남녀들이 미혼에서 기혼으로 이행하는 과정에 소요되는 탐색비용에 중점을 두고 미혼 남녀의 결혼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밝히고자 한다. 미혼 남성 300명, 미혼 여성 300명, 총 600명의 표본을 대상으로 2017년 2월 20일부터 2월 22일까지 설문조사를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을 이용하여 신뢰도분석,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 등의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연령, 경제활동상태, 내적 탐색비용, 이성교제 탐색비용, 보수-도구적 결혼가치관, 소극-배타적 결혼가치관, 경제적 자원제공 등이 미혼 남녀의 결혼의지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밝혀졌다.


This paper aims to explore the fundamental causes of delay of marriage and willingness to never marry of unmarried men and women and to provide countermeasures. The study explores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marriage willingness of unmarried men and women focusing on the search cost that is required during the process of getting married. The sample of 300 unmarried men and 300 unmarried women, a total of 500 unmarried people, were surveyed from February 20 to 22, 2017. Then, statistical analyses such as reliability analysis,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etc. are performed on the collected data using SPSS 21.0. Age, financial activity statuses, financial resource provision, etc. are found to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marriage willingness of unmarried men and wom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