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생각혁명의 새로운 주체인 알고리즘 이론의 최적 멈춤에서 게임이론으로 결말 지워지는 내용들 중 태권도와 연관된 정렬하기, 게임이론과 더불어 알고리즘에서 파생되는 태권도알고리즘이 sporting bodies로서 습관적인 형태들과 어떠한 알고리즘을 형성하는지에 대해서 조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따라서 연구방법은 알고리즘이라는 새로운 연구기법과 sporting bodies의 습관적(habitus)인 형태들의 이론적 틀을 사용하여 태권도알고리즘을 구성하는데 있다. 태권도알고리즘과 아비투스적 특성에 대한 올바른 접근은 몸의 사회화의 문제에 제대로 접근할 수 있을 때 가능하다는 것이다. 따라서 우리는 태권도초심자의 하얀 도복과 흰 띠와 태권도유단자의 하얀 도복과 검은 띠에 대해 어떤 상징적 알고리즘의 의미를 가지는가? 왜 태권도를 배운 사람은 다시 자신의 제자에게 자신의 기술을 대물림 하는가?와 같은 최적화의 단서를 스포츠 문화적 차원에서의 습관과 행동구조, 소비문화의 패턴을 통해 얻을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The study above derives form a thought revolution for a new subject in which, the theory of algorithm’s put an optimal stoping for the end of game theory contents, associated with taekwondo and a range of different game theories to derive a specific algorithm for taekwondo by utilizing sporting bodies’ habitual state and to investigate new forms of algorithm through certain algorithmic techniques to achieve the research’s goal. Therefore, the research method is to construct a taekwondo algorithm using a new research technique called algorithm and theoretical framework of habitus forms of sporting bodies.